청동거울3 [삼국문화의일본전파/백제] 백제의 청동거울과 일본의 청동거울 백제의 청동거울과 일본의 청동거울 공주 무령왕릉 출토 청동거울(의자손수대경, 6세기전반)(왼쪽)일본 간논야마 고분 출토 청동거울(6세기 후반)(오른쪽) 2024. 10. 21. [선사&고대/철기시대]잔무늬거울(다뉴세문경) 잔무늬거울(다뉴세문경) ★ 잔무늬거울 : 청동기시대 또는 초기철기시대에 만들어진 청동 거울로 정문경(精文鏡), 다뉴세문경(多鈕細紋鏡)이라고도 한다. 한 면은 거울이고, 뒷 면에는 거울을 멜 때 사용하는 고리인 "뉴(鈕)"가 2개 있다. 지름 21.2cm, 테두리 폭이 1cm이다. 기하학적 무늬를 세밀하게 새긴 것이 특징이며, 제작 기술을 매우 정교하다. 제작시기는 대략 기원전 4세기 전후로 추정한다. 국보 제 141호, 출토지 미상, 숭실대학교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8. 10. 27. 거친무늬거울(다뉴조문경) 거친무늬거울(다뉴조문경) ★ 거친무늬거울 :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청동제 거울로, 다뉴조문경(多鈕粗文鏡)이라고도 한다. 거울 뒷면의 고리(鈕)가 여러개 있어 붙은 명칭이다. 중국식 거울과 달리 고리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거나 2~3개이며, 거울 면이 편평하거나 오목하다. 잔무늬거울에 비해 시기적으로 앞서며, 거울 뒷면의 문양이 거친 것이 특징이다.크기는 지름 8∼19cm 정도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8. 10.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