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동궐도(東闕圖) 동궐도(東闕圖) ★ 동궐도(東闕圖) : 조선후기 순조 연간에 도화서 화원들이 동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과 궁궐 전경을 조감도식으로 그린 궁궐 그림. 현재 두 점이 전해지는데, 고려대박물관과 동아대박물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31. [조선후기/건축]<동궐> 배치도 <동궐> 배치도 ★ 동궐(東闕) : 창덕궁와 창경궁.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6. [조선/건축] 창덕궁 인정전 창덕궁 인정전 ★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 : 창덕궁의 중심 건물로 궁궐의 권위를 나타내고 의식을 치르는 장소였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10년 중건하였고, 1803년 소실되어 이듬해 다시 재건하였다. 국보 제 225호. ★ 창덕궁(昌德宮) : 조선 시대 궁궐로 경복궁에 이어 두 번째로 지어진 궁궐로(태종 5, 1405),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다지 지었고 경복궁이 중건될 때 까지 조선의 법궁 역할을 했다. 동쪽으로는 창경궁과 맞닿아 있으며,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시대에 동궐(東闕)이라 불렀다. 1997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019. 10. 22. [조선/정치행정] 창덕궁의 내의원 창덕궁의 내의원 ★ 내의원(內醫院) : 조선 시대에 국왕 이하 왕족과 궁중에서 쓰이는 약을 조제하고, 백성들의 건강을 다스리던 관청. 상약(尙藥)이라고도 하였다. 지금의 보건복지부, 식약처에 해당하나, 서민에게 혜택을 주는 기관은 아니었다. 2019. 10. 22. [조선후기/건축] 창덕궁 주합루 창덕궁 주합루 ★ 창덕궁 주합루(昌德宮 宙合樓) : 창덕궁 내 부용지 북쪽의 2측 누각 건물. 정조의 명으로 짓고(1776, 정조 1) 이곳에 규장각을 설치하였다. 보물 제1769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 소재. 2019. 10.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