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347

[조선/사상과학문]이이(李珥) 이이(李珥) ★ 이이(李珥, 1537~1584) :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 호는 율곡(栗谷)이다. 서인(西人)의 영수로 추대되었으며 이이의 사상은 노론으로 이어졌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18.
[조선/사상과학문]이황(李滉) 이황(李滉) ★ 이황(李滉, 1502~1571) :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로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은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이며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이다. 이황의 사상은 일본 성리학 발전.. 2019. 10. 18.
[조선/사상과학문] 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 ★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 조선 세종 16년(1434)에 편찬된 서적으로 삼강(三綱)에 모범이 될 충신·효자·열녀의 행실을 모아 그림과 함께 엮었다. 금속활자 인쇄본이며, 한글 해제를 붙여 간행되기도 하여 국문학적 가치가 높다. 2019. 10. 18.
[조선/사상과학문]성균관 명륜당 성균관 명륜당 ★ 성균관(成均館) : 한국의 옛 대학(大學). 고려 시대의 국자감(충선왕 때 성균관으로 개명)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이다. 조선 개국 후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성균관을 지었으며 갑오개혁 이전까지 조선 최고의 교육 기관이었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 2019. 10. 17.
[조선/정치]사육신 사당과 묘 사육신 사당과 묘 ★ 사육신(死六臣) :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인 성삼문, 하위지, 이개, 유성원, 박팽년, 김문기를 일컫는 말이다. 사육신과 생육신 등의 신하들을 통칭하여 다른 훈구파와 구별하여 따로 절의파(節義派)로 부르기도 한다. .. 2019. 10. 17.
[조선/정치] 붕당의 계보 붕당의 계보 ★ 붕당정치(朋黨政治) : 각 붕당들 사이의 공존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의 독특한 정치 운영 형태. 붕당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지역적, 학문적, 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이다. 상호비판과 견제를 통한 균형과 공존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과도한 정쟁으로 폐단이 생겨나자, 조선 후기에 탕평론 등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19세기 초에 세도정치가 등장하며 막을 내렸다. 2019. 10. 17.
[조선/정치]의과 시험(잡과) 의과 시험(잡과) MBC 드라마 마의 중 한 장면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16.
[조선/정치]과거 시험(재현) 과거 시험(재현)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16.
[조선/정치] 사림(士林) 사림(士林)  ★ 사림(士林) : 정계에 진출하지 않고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과 학자로서 고려 말 온건파 사대부를 계승했다.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다. 훈구파에 대립하여 사림파(士林派)라고 불리기도 하며, 유림(儒林)으로도 불린다. 2019. 10. 16.
[조선/건축]합천 해인사 장경판전(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 국보 제52호. 해인사의 부속 건물 중 하나로 고려 시대에 조판한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다. 기록에 따르면 조선 세조 대에 지어졌으며 임진왜란 때 피해를 입지 않아 15세기 건.. 2019. 10. 15.
[조선/사상과학문]팔도총도(八道總圖) 팔도총도 八道總圖 ★ 팔도총도(八道總圖) : 중종 대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중종 25, 1530)에 수록된 조선 전도.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성동 대에 편찬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개정 ․ 증보판이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 2019. 10. 15.
[조선전기/대외관계] 대마도 정벌(對馬島征伐) 대마도 정벌  ★ 대마도 정벌(對馬島征伐) : 조선 세종 때(세종 1, 1419) 때 한반도와 중국을 침략하여 노략질하던 왜구의 본거지인 대마도(쓰시마 섬)을 정벌한 사건이다. 이종무가 조선 군을 이끌었으며 기해동정(己亥東征)이라고도 한다. 2019. 10. 15.
[조선/과학기술] 갑인자(복원품) 갑인자(복원품)   ★ 갑인자(甲寅字) : 조선 세종 16년(1434)에 만든 동철활자로 위부인자(衛夫人字)라고도 한다. 활자는 현존하지 않으나 인쇄본이 남아있다. 2007년 청주 고인쇄 박물관에서 활자를 복원하였다. 2019. 10. 9.
[조선/과학기술] 칠정산(七政算) 칠정산(七政算)  ★ 칠정산(七政算) : 조선 세종 대에 편찬한 역서(曆書). 원의 수시력을 바탕으로 명의 자료를 참고하여 만들었다. 천체의 움직임과 날짜 계산, 24절기 예보 등을 서술하고 있다. 2019. 10. 9.
[조선전기/과학기술] 농사직설 농사직설 ★ 농사직설(農事直說) : 조선 세종 때 편찬한 농서(1429, 세종 11)로 조선 기후와 풍토에 알맞은 농법을 저술하였다. 현존하는 농서 중 오래된 것으로, 한국식의 농법을 편 자주적 저서로서 농업 기술의 변천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이다. 2019. 10. 9.
[조선/학문]향약집성방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1433년(세종 15년)에 편찬된 의학서로서, (정종 1, 1399 편찬)을 토대로 하고 여러 의서를 참고하여 완성하였다. 여기에는 각종 약방문과 침구법 및 향약본초 · 포제법 등이 들어 있으며, 민간에서 이용이 편리하도록 구성하였다. 2019. 10. 8.
[조선전기/과학기술] 신기전기(神機箭機) 신기전기(神機箭機)  ★ 신기전(神機箭) : 1448년(세종 30년) 만들어진 조선시대의 로켓추진 화살. 신기전을 발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화차인 신기전기(神機箭機)는 다연장 로켓발사장치이다. 설계도와 상세 제작 자료가 병기도설>에 상세 제작 자료가 남아있으며 1993년 복원하여 공개 발사시험을 하였다. 2019. 10. 8.
[조선전기/과학기술] 앙부일구(仰釜日晷) 앙부일구(仰釜日晷)   ★ 앙부일구(仰釜日晷) : 1434년(세종 16년) 이후로 제작 · 사용된 해시계. 장영실, 이천, 김조 등이 초기의 제작에 참여하였다. 시간과 계절, 절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보물 제 845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2019. 10. 8.
[조선/과학기술] 자격루 조감도 자격루 조감도 ★ 자격루(自擊漏) : 조선 세종 때 제작된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이다. 장영실과 김조 등이 2년 간 제작하여 세종 16년(1434년)에 완성하였다. 중종 31년에 이전의 자격루를 개량하여 다시 제작하였다. 현재 중종 때의 자격루가 보존되어 남아있다(국보 제 229호). 2019. 10. 7.
[조선/과학기술] 자격루(自擊漏) 자격루(自擊漏) ★ 자격루(自擊漏) : 조선 세종 때 제작된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이다. 장영실과 김조 등이 2년 간 제작하여 세종 16년(1434년)에 완성하였다. 중종 31년에 이전의 자격루를 개량하여 다시 제작하였다. 현재 중종 때의 자격루가 보존되어 남아있다(국보 제 229호). 2019.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