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조38

[조선후기/건축] 화홍문(수원화성) 화홍문(수원화성)  ★ 화홍문(수원화성) : 대천(大川)이 성으로 들어오는 입구에 북수문을 내고 그 위에 세운 누각. 북수문은 7칸짜리 홍예문으로 만들었다. 2024. 12. 9.
[조선후기/건축] 서남암문(수원화성) 서남암문(수원화성) ★ 서남암문(수원화성) : 적들을 알지 못하나 평상시에는 백성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용도’라는 화양루의 매복로와 연결된다. 2024. 12. 7.
동북공심돈(수원화성) 동북공심돈(수원화성)  ★ 동북공심돈(수원화성) : 적을 살피는 척후시설로 화성에만 있는 시설물. 3층을 잇는 나선형 구조로 ‘소라각’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2024. 12. 6.
[조선후기/건축] 봉돈(수원화성) 봉돈(수원화성)  ★ 봉돈(수원화성) : 봉화 연기를 피우는 돈대. 보통 때는 남쪽의 한 굴뚝에서만, 위급할 때에는 다섯 굴뚝 모두에서 연기를 피웠다. 2024. 12. 5.
[조선후기/건축] 팔달문(八達門) 팔달문(八達門)  ★ 팔달문(八達門) : 화성의 남문으로 사방팔방으로 길이 열린다는 뜻이다. 팔달문 주변은 삼남 지방으로 통하는 길목이어서 화성 축성 전에도 사람이 많이 오갔다. 규모와 형식은 장안문과 같다. 문 밖에 항아리 모양의 옹성(甕城)을 만들고, 방어를 위해 좌우에 적대를 세웠다. 팔달문은 도성의 문루처럼 우진각 형태의 지붕과 잡상 장식을 갖추었으며, 규모와 형식에서 조선 후기 문루 건축을 대표한다. 2013년 해체・수리하였다. 보물 제 402호. 2024. 11. 21.
[조선후기/기록문화]기사진표리진찬의궤 기사진표리진찬의궤 ★ 기사진표리진찬의궤 : 순조가 대왕대비 혜경궁 홍씨의 장수를 기원하기 위해 열었던 연회(1809)를 기록한 의궤. 병인양요 때 프랑스가 약탈해 간 외규장각 도서 중의 하나로 참전 병사 한명이 빼돌려 영국에 팔아넘겼다. 영국국립도서관 소장. ★ 헌경의황후(獻敬懿皇后, 혜경궁 홍씨, 1735~1816) : 조선 후기의 왕세자빈, 추존왕비, 대한제국의 추존황후. 영조의 차남 장조(莊祖, 사도세자)의 비이자, 정조의 어머니이다. 원래 시호는 헌경혜빈(獻敬惠賓)이었으나, 고종 때 왕후(헌경왕후)로, 다시 황후로 추존되었다. 혜경궁 홍씨로 불린다. 한중록의 저자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30.
[조선후기/건축] 화성행궁 화성행궁  ★ 화성행궁(華城行宮) : 정조가 능원에 참배할 때 머물던 임시 처소로서, 평소에는 부사(府使) 또는 유수(留守)가 집무하던 곳으로 활용되던 행궁이다. 정조 13년(1789) 수원 신읍치 건설 후 팔달산 동쪽 기슭에 건립되었다. 정궁(正宮) 형태를 이루며 국내 행궁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했지만 일제 강점기 낙남헌을 제외한 모든 시설이 일제의 민족문화와 역사 말살 정책으로 파괴되었다. 1980년대부터 복원이 추진되어 2003년 복원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 2020. 5. 19.
[조선후기/왕실문화]홍재전서 홍재전서 ★ 홍재전서(弘齋全書) :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의 어제(御製)를 모아 엮은 문집(文集). 정조 재위 당시부터 수차례의 편찬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184권 100책으로 편차가 확정되었고, 1814년에는 활자를 이용하여 간행되었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6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9.
[조선후기/정치]채제공 채제공 ★ 채제공(蔡濟恭, 1720~1799) : 조선 후기의 문신 겸 정치인이다. 영조 후반 시대와 정조 시대 남인의 영수로 정조의 최측근 인사 중의 한사람이며, 정약용, 이가환 등의 정치적 후견자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3.
정조의 <만기지가> 도장 정조의 도장 ★ 만기지가(萬機之暇) : ‘만가지 일을 처리하는 여가에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국왕의 독서를 의미한다. 규장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7.
정조가 어린 시절 공부한 소학 정조가 어린 시절 공부한 소학 ★ 영조가 첫돌을 맞은 사조세자에게 하사한 책으로, 사도세자는 아들 정조가 첫돌은 맞이하자 하사하였다. ★ 소학(小學) : 1187년에 완성된 중국 송나라의 유자징이 지은 수양서. 동아시아에 널리 유포되었으며, 주로 어린이들의 교육에 활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6.
정조의 어릴 적 서체 정조의 어릴 적 서체 ★ 정조(正祖, 1752~1800, 재위 1776~1800) : 조선 제22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 생부 사도세자(장조)가 임오화변으로 죽은 뒤 요절한 효장 세자(영조의 장자)의 아들로 입적되어 왕위를 계승하였다. 영조의 탕평책을 이어 발전시켰으며 다양한 개혁 정책을 펼쳤다. 조선의 중흥을 이룬 왕으로 평가받는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6.
[조선후기/정치행정]일성록(日省錄) 일성록(日省錄) ★ 일성록(日省錄) : 조선후기(1760)부터 1910년까지 국왕의 동정과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을 수록한 등록, 정무일지. 정조 때부터 고종까지 기록하였으며, 왕의 일기 형식으로 기록되었다. 국보 제 153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0.
[조선후기/왕실문화]문효세자의 왕세자 책봉식 문효세자의 왕세자 책봉식 ★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1786) : 조선의 제22대 정조의 장자로 후궁 의빈 성씨의가 낳은 첫 아들이다. 왕세자(王世子)로 책봉되었으나(1784), 어린 나이에 병으로 훙서(사망)하였다. 대한제국 수립 후 태자로 추증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 2020. 4. 14.
[조선후기/왕실문화]어제조훈언해 어제조훈언해 (御製祖訓諺解) ★ 어제조훈언해(御製祖訓諺解) : 영조가 손자 정조의 교육을 위해 지은 책으로, 한문본을 한들로 옮긴 책이다. 장서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2.
[조선후기/왕실문화]산실청 관리의 포상 기록 산실청 관리의 포상 기록 ★ 정조 14년(1790) 원자(순조)가 탄생한 이후 정조가 산실청 소속 관리에게 포상한 기록. 규장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30.
[조선후기/기록문화] 홍화문 사미도 홍화문 사미도 ★ 사미도(賜米圖) : 원행을묘정리의궤(1769)>에 수록된 홍화문 사미도>. 홍화문(창경궁 정문)에서 빈민에게 쌀을 나누어 주는 그림. 규장각 소장. 2020. 1. 30.
[조선후기/정치]문효세자 왕세자 책봉식(1784) 문효세자 왕세자 책봉식 (1784) ★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1786) : 조선의 제22대 정조의 장자로 후궁 의빈 성씨의가 낳은 첫 아들이다. 왕세자(王世子)로 책봉되었으나(1784) 어린 나이에 병으로 훙서(사망)하였다. 대한제국 수립 후 태자로 추증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 2020. 1. 20.
[조선후기/정치]문효세자 책봉 죽책 문효세자 책봉 죽책 ★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1786) : 조선의 제22대 정조의 장자로 후궁 의빈 성씨의가 낳은 첫 아들이다. 왕세자(王世子)로 책봉되었으나(1784), 어린 나이에 병으로 훙서(사망)하였다. 대한제국 수립 후 태자로 추증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20.
[조선후기/국방] 무예도보통지 무예도보통지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 규장각 검서관인 이덕무, 박제가와 장용영 장교인 백동수 등이 정조의 명으로 정조 14년(1790년)에 편찬한 훈련용 병서.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020.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