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제의탄압31

[일제강점기/노동운동]원산 총파업 원산 총파업 ★ 원산 총파업(元山 總罷業) : 1929년 1월 13일부터 4월 6일까지 원산시에서 있었던 총파업. 영국계 기업 문평 라이징선 제유회사의 일본인 감독의 폭력이 발단이 되어 원산 지역 노동자 대부분이 참여하는 대규모 파업으로 발전하였으며, 3개월을 넘게 지속되었다. 조선총독부의 대대적인 검속과 노동조합의 분열로 일단락 되었다. 표면적으로 파업이었지만 일제의 반노동 정책에 따라 지역의 모든 사회 제반 계층이 양 편으로 나뉘어 싸운 대규모 투쟁이었다. 2021. 3. 14.
[일제강점기/경제수탈]동양척식주식회사의 소유지 증가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소유지 증가 ★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 Oriental colonization Company) : 1908년 12월 18일에 설립된 일본의 기업. 일제가 조선의 경제 독점과 토지·자원의 수탈을 목적으로 세운 국책회사로 영국의 동인도 회사를 본뜬 식민지 수탈기관이다. 1945년 11월 10일 미군정에 의해 신조선회사로 개편되었다가, 1946년 2월 21일 신한공사(新韓公社)를 창립하였다. 2021. 3. 8.
[일제강점기/경제수탈]일제강점기 일본인의 한국 토지 점유 일제강점기 일본인의 한국 토지 점유 ★ 한국으로 이주한 일본인에게 땅을 빼앗기고 만주로 쫓겨가는 한국 농민의 처지를 풍자한 풍자화(동아일보 만평 : 1927. 10. 16) 2021. 3. 3.
[일제강점기/민족말상정책] 궁성요배 궁성요배 ★ 궁성요배(宮城遥拝) : 일왕의 궁성 방향으로 고개를 숙여 절을 하던 일본 예법. 일제강점기에 한국을 비롯한 식민지 주민(대만, 만주국)에게 강요하였으며, 2차대전 중에는 더욱 극심하였다. ★ 민족말살정책(民族抹殺政策) : 일본이 일제강점기 193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한민족의 정체성을 사라지게 하여 최후까지 전쟁협력을 얻기 위해 취한 정책. 와 등을 내세우며 , 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한국인의 정치 참여와 교육 확대 등은 외면하고 차별은 개선하지 않았다. ★ 황국신민화 정책(皇國臣民化) : 일본이 1930년대 후반부터 실시한 의 일환으로 한국인이 일본의 신민이 되어 일왕에게 충성을 강요하였다. 이 정책은 2차대전 발발 이후 더욱 심화되었다. 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신.. 2021. 2. 26.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일제강점기의 종로 경찰서 일제강점기의 종로 경찰서 ★ 종로경찰서는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이었다. 2021. 1. 6.
[일제강점기/해외독립운동]1920년대 만주 지역의 독립 투쟁 1920년대 만주 지역의 독립 투쟁 2020. 11. 7.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 간도참변 간도참변 ★ 간도참변(間島慘變) : 경신참변(庚申慘變)이라고도 한다. 1920년 독립군 섬멸 계획 실패 및 봉오동 ․ 청산리 전투 패배에 대한 보복으로 간도 일대(만주지역)의 한국인들을 학살한 사건. 약 27일 동안 3,469명을 학살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실제 사망자는 수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는 노령 연해주에서도 이와 같은 만행을 저질렀다. 2020. 10. 26.
[일제강점기/3.1운동]제암리 학살 사건의 유족들 제암리 학살 사건의 유족들 ★ 제암리 학살 사건(提巖里虐殺事件) : 일제강점기인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화성시 향남읍) 제암리 소재 제암리 감리교회에서 일어난 학살 사건. 1919년 3월 1일에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난 뒤, 3월 31일 발안 장날에 경기도 화성시(당시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에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이날 이후 주민들이 밤마다 뒷산에 올라 봉화를 올려 만세운동은 계속하였다. 일본 경찰은 총칼로 시위를 진압하고 제암리 일대에서 검거 ․ 토벌 작전을 자행하였다. 일제는 지역 만세운동의 중심지인 제암리를 토벌할 계획을 세우고, 4월 15일 “만세운동 과잉 집안에 대한 사과”를 빌미로 주민들은 교회에 모아 놓고, 총을 쏘고 교회에 불을 질러 주민들을 학살하였다. 제암.. 2020. 10. 16.
[일제강점기/3.1운동]제암리 학살 사건 제암리 학살 사건 ★ 제암리 학살 사건(提巖里虐殺事件) : 일제강점기인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화성시 향남읍) 제암리 소재 제암리 감리교회에서 일어난 학살 사건. 1919년 3월 1일에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난 뒤, 3월 31일 발안 장날에 경기도 화성시(당시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에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이날 이후 주민들이 밤마다 뒷산에 올라 봉화를 올려 만세운동은 계속하였다. 일본 경찰은 총칼로 시위를 진압하고 제암리 일대에서 검거 ․ 토벌 작전을 자행하였다. 일제는 지역 만세운동의 중심지인 제암리를 토벌할 계획을 세우고, 4월 15일 “만세운동 과잉 집안에 대한 사과”를 빌미로 주민들은 교회에 모아 놓고, 총을 쏘고 교회에 불을 질러 주민들을 학살하였다. 제암리 학살을.. 2020. 10. 15.
[일제강점기/3.1운동]천안 아우내 만세운동 재현 천안 아우내 만세운동 재현 ★ 천안 아우내 만세운동 : 1919년 3월 1일 시작된 3.1운동을 전국으로 확산되었는데, 1919년 4월 1일(음력 3월 1일) 천안 병천 시장에서 3,000여 명의 군중이 참가한 대규모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일본 경찰과 헌병은 총검을 이용하여 강력한 진압을 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일본의 강제 진압으로 현장에서 죽은 사람은 19명이며, 유관순을 포함한 많은 참가자들이 부상, 투옥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 2020. 10. 15.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기념탑 3.1운동 기념탑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4.
[일제강점기/3.1운동] 3.1 운동의 확산 3.1 운동의 확산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4.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참여 인원 3.1운동 참여 인원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3.
[일제강점기/3.1운동] 일제의 3.1 운동 탄압 일제의 3.1 운동 탄압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외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3.
[일제강점기/3.1운동]3.1운동 3.1운동 ★ 3·1 운동 : 일제 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 병합 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 운동을 시작한 사건. 3.1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5월까지 지속외었으며, 해외에서도 있어났다. 일제는 3.1운동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일제의 무단 통치가 해외에 알려졌고, 일제는 통치 방식으로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또한, 3.1운동을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국내외의 독립운동이 조직적으로 실행되었다.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서는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2020. 10. 2.
[일제강점기/무단통치]105인 사건 105인 사건 ★ 105인 사건(百五人事件) : 일본이 한국의 민족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사건들 중 하나로 1911년 발생하였다. 단순한 모금활동에 불과한 안명근의 체포사건을 1910년의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 암살미수 사건으로 조작하여 그러면서 이 사건에 관여했다 하여 서북 지방의 배일 기독교인과 신민회원을 다수 체포한 것이 안악 사건(安岳事件)과 백오인 사건, 즉 신민회 사건이었다. 2020. 10. 1.
[일제강점기/무단통치]칼을 찬 교원 칼을 찬 교원 ★ 무단 통치(武斷統治) : 헌병경찰통치(憲兵警察統治). 일제강점기 초기인 1910년대의 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으로, 헌병의 무력을 보여주는 등 조선인에게 압박을 가해 조선민족의 민족의식을 억눌렀다. 2020. 10. 1.
[일제강점기/무단통치]조선 태형령 조선 태형령 ★ 조선 태형령(朝鮮笞刑令) : 일제강점기 1910년대 무단 통치 상징 중의 하나로, 공식적인 형벌 제도 안에서 한국인에게 태형(笞刑)을 가할 수 있도록 한 법률. 3⋅1 운동 이후 폐지되었다(1920년 4월 1일). 2020. 10. 1.
[일제강점기/경제수탈]조선 토지 조사 사업 조선 토지 조사 사업 ★ 조선 토지 조사 사업(朝鮮土地調査事業) :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일본이 한국의 식민지적 토지 소유 관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시행한 대규모 조사 사업. 근대적 토지소유권의 확립을 구실로 내세웠으나, 실질적으로는 한국인의 토지 수탈이 목적이었다. 토지 조사 사업 이후, 조선 총독부와 일본인 소유 토지가 대폭 늘어났느며, 대지주 계층이 등장하고 영세 소작농이 대폭 늘었다. 특히 농민들은 세습적 경작권을 빼앗겨 더욱 빈곤해졌다. 2020. 9. 30.
[일제강점기/경제수탈]동양척식주식회사 동양척식주식회사 ★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 Oriental colonization Company) : 1908년 12월 18일에 설립된 일본의 기업. 일제가 조선의 경제 독점과 토지·자원의 수탈을 목적으로 세운 국책회사로 영국의 동인도 회사를 본뜬 식민지 수탈기관이다. 1945년 11월 10일 미군정에 의해 신조선회사로 개편되었다가, 1946년 2월 21일 신한공사(新韓公社)를 창립하였다. 2020.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