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제의수탈10

[일제강점기/경제수탈] 줄포 정미소 줄포 정미소 ★ 줄포정미소 : 일제강점기 서해안 4대 항구 중 하나인 줄포면(전라북도 부안군)에 있던 정미소로, 독립운동가였으나 1940년대에 친일로 변절한 김성수 가문의 소유였다. 당시 줄포면은 부안 지역의 경제 중심지이지아 일본의 호남 지역의 농산물 수탈 거점이었다. 2021. 4. 5.
[일제강점기/노동운동]원산 총파업 원산 총파업 ★ 원산 총파업(元山 總罷業) : 1929년 1월 13일부터 4월 6일까지 원산시에서 있었던 총파업. 영국계 기업 문평 라이징선 제유회사의 일본인 감독의 폭력이 발단이 되어 원산 지역 노동자 대부분이 참여하는 대규모 파업으로 발전하였으며, 3개월을 넘게 지속되었다. 조선총독부의 대대적인 검속과 노동조합의 분열로 일단락 되었다. 표면적으로 파업이었지만 일제의 반노동 정책에 따라 지역의 모든 사회 제반 계층이 양 편으로 나뉘어 싸운 대규모 투쟁이었다. 2021. 3. 14.
[일제강점기/인적수탈] 강제 징용 강제 징용 ★ 일제강점기의 강제 징용 :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인력 확보를 위해 많은 한국인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1938년 을 공포하고 실시하였다. 한국 노동자들의 직업 선택권을 빼앗고 일본의 필요에 따라 강제 노동을 시켰다. 한국 노동자들은 사할린 섬이나 동남아시아, 남양군도 등에서 탄광, 군사기지 및 철도 건설에 동원되어 임금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과중한 노동에 시달렸다. 이들 중 많은 이들이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하였으며, 전후 전범으로 희생되기도 했다. 일본은 현재까지 일제의 강제징용을 부인하고 있다. 2021. 2. 22.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 조선총독부(朝鮮総督府) : 일본이 1910년 8월 29일 한국을 강제 병합한 뒤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 조선총독부는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한 이후에도 당분간 한반도 지역을 계속 통치하였고, 1945년 9월 3일부로 38도선 이남 지역을 미군정에게 인계하였고, 1945년 9월 28일 공식적으로 소멸되었다. 청사는 1995년 철거하였다. 2020. 9. 27.
[일제강점기] 병참기지화 정책 병참기지화 정책 ★ 병참기지화 정책(兵站基地化政策) : 정식 명칭은 이다. 일제가 한반도를 침략 전쟁 수행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조달하는 병참 기지로 만들기 위해 실시한 일련의 정책으로 1930년대부터 일본이 패망할 때까지 이어졌다. 2017. 6. 16.
[일제강점기/경제] 일제강점기의 철도 일제강점기의 철도 2017. 6. 12.
[일제강점기/노동운동] 1920~30년대의 노동쟁의 1920~30년대의 노동쟁의 2017. 6. 8.
[일제강점기/경제수탈] 미곡 생산량과 수탈량(산미증식계획) 미곡 생산량과 수탈량 (산미증식계획) ★ 산미증식계획(産米增殖計劃) : 일제가 일본의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을 일본의 식량공급지로 만들고자 실시한 정책으로 1920년부터 1934년까지 실시되었다. 일제는 쌀 생산이 목표에 미치지 못했음에도 증산량보다 많은 쌀을 일본으로 가져가, 한국의 소작농이 몰락하고 화전민이 증가하였다. 일본에서는 쌀 가격 폭락으로 일본 농촌 경제가 악화되어 1934년 중단되었다. 2017. 6. 5.
[일제강점기 / 경제수탈] 일제강점기의 농민 구성 변화 일제강점기의 농민 구성 변화 2017. 6. 3.
[일제강점기/경제수탈] 토지조사 사업 이후 농민의 변화 토지 조사 사업 이후 농민의 변화 ★ 조선 토지 조사 사업(朝鮮土地調査事業) :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일본이 한국의 식민지적 토지 소유 관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시행한 대규모 조사 사업. 근대적 토지소유권의 확립을 구실로 내세웠으나, 실질적으로는 한국인의 토지 수탈이 목적이었다. 토지 조사 사업 이후, 조선 총독부와 일본인 소유 토지가 대폭 늘어났느며, 대지주 계층이 등장하고 영세 소작농이 대폭 늘었다. 특히 농민들은 세습적 경작권을 빼앗겨 더욱 빈곤해졌다. 2017.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