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병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윤희순 윤희순 ★ 윤희순(尹熙順, 1860~1935) : 한국의 독립운동가, 한국 최초의 여성 의병 지도자. 을미사변(1895) 이후 등 노래를 지어 항일의식을 불러일으켰고, 여성의 구국 활동을 촉구하였다. 1907년 일제가 고종황제를 폐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하자 탄약제조소를 운영하고, 여성 의병을 모집하여 후방에서 의병 활동을 지원하였다. 1911년 가족과 함께 중국으로 망명하여 벼농사를 짓고 노학당(勞學堂)을 열어 항일운동가를 양성하였다. 일제의 탄압으로 노학당이 폐교되자 중국인들과 함께 을 만들고, 학교를 설립하여 항일교육을 하였다. 1935년 숨을 거두었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고, 2008년 9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2021. 1. 6.
[근대/항일의병운동] 문석봉 문석봉 ★ 문석봉(文錫鳳, 1851~1896) : 개항기 경복궁 오위장, 공주부 진잠 등을 역임한 의병장. 갑오개혁(1894) 이후 변복령과 단발령 등 제도 개편에 반대하고 항일의병을 일으켰으며, 을미사변 직후에도 의병을 일으켰다. 2020. 7. 28.
[근대/정변및사건] 단발령 단발령 ★ 단발령(斷髮令) : 김홍집 내각이 고종 32년(1895)에 공포한 을미개혁안 중 하나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고종의 칙령. 유학자들의 격렬한 반발로 1897년(건양 2년) 일단 철회되었으나, 1900년(광무 4년) 이후 다시 부활하여 전국적으로 단행되었다. 2020. 7. 26.
[조선중기/병자호란] 병자창의록 병자창의록  ★ 병자창의록(丙子倡義錄) :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 때 호남 지방의 의사(義士)들의 활동을 기록한 책. 영조 46년(1770)에 간행되었다. 정식 명칭은 병자호란창의록(丙子胡亂倡義錄)>이다. 2020. 5. 29.
[조선중기/임진왜란] 칠백의총(七百義塚) 칠백의총(七百義塚)   ★ 칠백의총(七百義塚) : 임진왜란 때 순절한 고경명, 조헌, 영규 대사를 비롯한 700여 명의 의사가 묻힌 묘역.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 소재, 대한민국의 사적 제105호. 2019. 10. 29.
[조선중기/임진왜란] 곽재우 곽재우  ★ 곽재우(郭再祐, 1552~1617) : 조선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임진왜란에서 크게 활약한 의병장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관군이 왜군에게 전멸당하자, 당시 고향인 경남 의령에서 스스로 의병을 조직하여 붉은 비단으로 된 갑옷을 입고 활동하여 천강홍의장군(天降紅衣將軍)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백성들은 그를 ‘홍의장군’이라 불렀다. 여러번 승리한 공로로 찰방, 조방장 등을 지낸뒤 병마절도사를 역임했다. 그러나 김덕령 등의 의병장이 무고로 희생되는 것과 영창대군의 죽음을 보고 은퇴하고 낙향하였다. 2019. 10. 28.
[개화기/의병]항일의병운동 항일의병운동 ★ 항일의병운동(抗日義兵運動) : 일본 제국에 항거하는 의병 운동. 동학농민운동에서 시작하여 일본의 국권 침탈에 반대하여 을사의병(乙巳義兵), 정미의병(丁未義兵)으로 이어졌고 경술국치(庚戌國恥, 1910년 8월 29일) 이후 항일무장독립운동 세력의 근간이 되었다. 2017.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