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왕건7

[고려전기/인물] 고려 태조 왕건(王建) 고려 태조 왕건(王建)  ★ 왕건(王建, 877~943년, 재위 918~943년) : 송악(松嶽, 개성)의 호족 출신으로 후삼국 시대 태봉의 장군이자 고려를 건국한 고려의 초대 국왕. 고려 태조(高麗 太祖). 896년 궁예의 휘하에 들어가 태봉의 세력을 넓히는데 공을 많이 세워, 최고 지위인 시중(侍中)에 올랐다. 918년 궁예의 독단과 전횡에 불만을 품은 호족들의 지지를 받아 궁예를 축출하고 고려를 건국하였다. 이후 후백제와 치열하게 세력을 다투었다. 935년 신라 경순왕이 투항하여 신라를 합병하였고, 936년 내분으로 혼란에 빠진 후백제를 멸망시켜,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통일 후에 호족과의 융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발해 유민을 받아들이고 북진정책을 추진하였다. 2024. 6. 28.
[후삼국/정치] 전 견훤묘(견훤왕릉) 전 견훤묘(견훤왕릉)  ★ 전 견훤묘(傳 甄萱墓) : 후백제의 시조 견훤(甄萱, 867∼935)의 무덤이라고 전해오는 묘(墓). 견훤왕릉(甄萱王陵)이라고도 부른다.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금곡리 소재. 충청남도의 기념물 제26호. 2019. 9. 17.
[고려/능묘] 현릉(왕건릉) 현릉(왕건릉)  ★ 현릉(顯陵) : 고려 태조 왕건과 그의 정실 왕후 신혜왕후 유씨의 합장릉. 북한의 개성특별시 해선리에 있으며, 북한의 국보 제 179호이다. 1992년 태조 현릉의 널방을 발굴하여 벽화를 발견하고, 부장품들이 출토되어 현재 개성특별시 고려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김일성의 지시로 1994년 태조 현릉을 헐고 왕건릉을 개건하여 원형이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2019. 9. 16.
[고려전기/정치행정] 훈요십조(訓要十條) 훈요십조(訓要十條)     ★ 훈요 십조(訓要十條) : 고려 태조(왕건)가 후손에게 남겼다는 열 가지 가르침. 신서십조(信書十條) 또는 십훈(十訓)이라고도 한다. 고려왕실의 헌장으로 태조의 신앙 · 사상 · 정책 · 규범 등을 보여준다.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서론에 해당하는 신서(信書)와 10개조의 훈요이다. , 에 수록되어 있으며, 에서 인용한 것으로 추정한다. 2019. 7. 19.
[후삼국] 후삼국 시대 후삼국 시대     ★ 후삼국 시대(後三國時代, 892 ~ 936) : 892년 신라의 비장 견훤이 서남부의 무진주를 점령한 후 한남군 개국공을 칭한 후부터 936년 고려의 왕건이 백제를 멸망시키고 통일을 이룰 때 까지의 시기. 후백제의 견훤이 처음 왕을 선포한 900년을 시점으로 하기도 한다. 2019. 7. 12.
[고려전기/정치]왕건의 결혼 정책 왕건의 결혼 정책 2016. 1. 27.
훈요 10조 훈요 10조 고려 태조가 후손에게 남겼다는 열 가지 가르침으로 신서십조(信書十條), 십훈(十訓)이라고도 한다. 《고려사》(권2, 세가2)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 수록외어 있으며, 고려 현종 때 만들어진 위작이라는 주장도 있다. 훈요 10조의 내용 1. 불교를 숭상하고, 사원.. 2011.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