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국계몽운동16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양기탁 양기탁 ★ 양기탁(梁起鐸, 1871~1938) : 한국의 언론인, 독립 운동가. 대한제국 때부터 애국계몽운동을 하였고 독립협회와 신민회 등의 창건에 참여하였으며,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다. 1910년 이후 중국과 한국을 오가며 독립운동을 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도 참여하였다. 1938년 중국에서 병사하였다. 1993년 김영삼 정부 때 유해를 봉환하여 동작동 국립묘지로 이장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 2021. 2. 6.
[근대/독립운동가] 안창호 안창호 ★ 안창호(安昌浩, 1878~1938) :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 독립협회에서 활동하였으며, 해산 후 교육운동을 하였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한인 사회의 지도자로 활동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독립 운동을 하였다. 특히 교육과 실력 양성 운동을 활발히 하여 점진학교, 대성학교, 동명학원을 설립하였다. 1932년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의거 이후 일본 영사관 경찰의 불심검문에 체포되어 송환,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어 형문을 받고 출옥 직후 고문 후유증과 여러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다. 2021. 2.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손병희 손병희 ★ 손병희(孫秉熙, 1861~1922) : 천도교(동학) 지도자이자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1882년 동학에 입도하고 3년 뒤, 최시형의 수제자가 되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는 관군에 맞서 싸웠으나, 동학농민혁명 실패로 무너진 동학의 재건과 포교 활동에 큰 공을 세워 1897년 동학의 3대 교주가 되었다. 이후 개화 사상을 받아들여 근대화 운동을 펼치다가, 정부의 동학 탄압을 피해 1901년 일본으로 망명하여 메이지유신으로 변화한 일본을 보고 단체를 조직하여 개화운동을 하였다. 1905년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1906년 일본에서 귀국하여 천도교 재부의 친일 인사를 내보내고 교육과 출판 사업을 하였다. 1919년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3·1 운동을 주도하였다. 기미독립선언서 낭독.. 2021. 2. 4.
[근대/독립운동가] 박은식 박은식 ★ 박은식(朴殷植, 1859~1925) : 일제 강점기의 민족주의 역사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 개화기에 독립협회 활동을 하고, 을 창간하였으며, 의 주필로도 활동하였다. 대한제국이 멸망하자 중국으로 망명하여 , 등의 한국사 서적을 집필하여 출간하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1919) 국무총리, 2대 대통령 등을 역임하였다. 1925년 병사하였다. 2021. 1. 2.
[개화기/교육] 대성학교 대성학교 ★ 대성학교(大成學校) : 1908년 도산 안창호가 평양에 설립한 학교로 인재 양성을 통한 애국계몽 운동을 펼쳤다. 한일강제병합 후 조선총독부의 탄압을 받아 1912년에 강제 폐교되었다. 2020. 9. 10.
[개화기/교육] 서전서숙 서전서숙 ★ 서전서숙(瑞甸書塾) : 1906년 만주 용정에 설립된 한국의 신학문 민족교육기관. 이상설(李相卨) 중심으로 설립되었다가 1년만에 폐교되고 명동서숙으로 승계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0.
[개화기/애국계몽운동]시일야방성대곡 시일야방성대곡 ★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 : 의 주필인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 에 올린 글의 제목. 시일야방성대곡이란 "이 날에 목놓아 우노라"라는 의미이다. 장지연은 이 글에서 고종 황제의 승인을 받지 않은 을사조약의 부당함을 알리고 이토 히로부미와 을사오적을 규탄했다. 2020. 9. 2.
[근대/교육]배재학당(복원) 배재학당(복원) ★ 배재학당(培材學堂) : 1885년, 미국의 감리교 선교사인 헨리 아펜젤러가 서울에 세운 한국 최초의 근대식 중등교육기관이며, 배재중학교, 배재고등학교, 배재대학교의 전신이다. 2020. 8. 24.
[근대/교육]원산학사 원산학사 ★ 원산학사(元山學舍) : 1883년(고종 20) 민간에 의해 함경남도 원산에 설립되었던 중등학교. 한국 최초의 근대 학교로 일컬어진다. 2020. 8. 24.
[근대/인물]주시경 주시경 ★ 주시경(周時經, 1876~1914) : 조선의 언어학자이자 국문학자. 독립협회 활동을 하던 도중 한글 표기법 통일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한국어 문법을 정리하였다. ‘한글’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현대 한글 체계를 정립하고 보급하여 한국어 연구에 크게 공헌하였다. 2020. 8. 19.
[개화기/애국계몽운동]대한자강회 월보 대한자강회 월보 ★ 대한자강회(大韓自強會) : 1906년 3월 대한제국 경성부에서 결성된 애국계몽 운동 계열의 정치 단체. 이준이 결성했다가 해산된 헌정연구회를 계승한 애국계몽 운동 단체로 1906년부터 1907년까지 자강운동을 주도하였다. 고종의 강제 퇴위를 반대하였다가 통감부에 의해 1907년 8월 21일에 강제로 해산당했다. 같은 해 11월에 창립된 남궁억의 대한협회가 대한자강회의 이념을 일정 부분 계승하였다. 2020. 8. 14.
[근대/애국계몽운동]어니스트 토머스 베델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 ★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Ernest Thomas Bethell, 1872~1909) : 1904년에서부터 1909년까지 대한제국에서 활동한 영국 출신의 언론인, 신문기자. 한국명 배설(裵說). 대한매일신보는 사장으로 통감부에게 검열받지 않고 항일 논설을 자유롭게 실으며,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해 애국운동을 주도하였다. 1910년 한일병합 이전까지 고종의 강제 퇴위와 대한제국 군대 해산의 부당성을 비판하는 등 항일 활동을 계속하였다. 1909년 심장병으로 사망하였고,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안장되었다. 1968년 해외독립유공자로 인정되어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수여받았다. 2020. 8. 7.
[개화기/애국계몽운동]독립협회의 강연회(만민공동회) 독립협회의 강연회(만민공동회) ★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 관민공동회(官民共同會)하고도 한다. 독립협회에서 주관한 민중대회로 초기에는 지식인 중심이었으나 범국민적 대회와 단체로 성장하였다. 조선의 자주독립, 부패척결, 내정 개혁, 민권 운동 등을 주장하였고, 1898년 부터는 제국주의 침탈 반대 운동을 펼쳤다. 민중의 지지를 받았으나 보수세력의 견제와 정부의 탄압으로 무산되고 1899년 폐지되었다. 2020. 8. 1.
[개화기/애국계몽운동]독립신문 독립신문 ★ 독립신문(獨立新聞) : 1896년 4월 7일에 한국에서 최초로 발간된 민간 신문. 한글, 영문판이 있었다. 미국에서 귀국한 서재필 중심으로 여러 개화사상가들이 참여하여 독립협회의 기관지로 발간되었다. 독립협회의 해산과 함께 폐간되었다. 2020. 8. 1.
[개화기/유물유적]독립문 독립문 ★ 독립문(獨立門) : 조선 후기의 건축물. 1896년 11월에 착공되어 1897년에 완공되었다. 독립협회가 중심이 되어 조선이 청나라의 책봉 체제에서 독립한 것을 상징하기 위하여 영은문을 무너뜨리고 그 터에 지은 문. 독립문 전면에는 영은문이 서 있던 기둥돌이 함께 남아 있다. 서재필의 주도로 건립되었으며, 서재필의 원작을 배경으로 아파나시 세레딘 사바틴(Середин-Cабатин)이 설계하고 심의석이 시공 감독하였다. 현판은 김가진의 작품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 사적 제32호로 지정되었다. 2020. 8. 1.
[개화기]민족운동과 애국계몽운동 민족운동과 애국계몽운동 ★ 애국계몽운동(愛國啓蒙運動,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 대한제국 말기에 교육과 산업 등을 통해 국민의 실력을 키워 침범되어 빼앗긴 권리를 되찾고 나라의 독립을 보전하고자한 사회 운동. 2017.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