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조10 [조선후기/문화예술/기록화] 신미 정주성 공위도 신미 정주성 공위도 ★ 신미 정주성 공위도 : 홍경래의 난때 관군이 정주성을 에워싸고 농민군을 공격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2020. 4. 27. [조선후기/왕실문화]순조의 어릴 적 글씨 순조의 어릴 적 글씨 ★ 순조(純祖, 1790~1834, 재위 1800~1834) : 조선의 제23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추존황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증조 할머니인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가 4년 동안 수렴청정 하였다. 재위 기간 동안 세도 정치로 정치 기강이 문란하였고 민란이 일어나는 등 사회적으로 혼란하.. 2020. 2. 7. [조선후기/왕실문화]산실청 관리의 포상 기록 산실청 관리의 포상 기록 ★ 정조 14년(1790) 원자(순조)가 탄생한 이후 정조가 산실청 소속 관리에게 포상한 기록. 규장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30. [조선후기/사상과학문]모훈집요(謨訓輯要) 모훈집요(謨訓輯要) ★ 모훈집요(謨訓輯要) : 1818년 윤응대·이규현·김남순이 순조의 명으로 세자를 위하여 편찬한 교과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8. [조선후기/왕실문화]‘동궁초강효경지희' 현판 ‘동궁초강효경지희’ 현판 (東宮初講孝經之喜) ★ ‘동궁초강효경 지희(東宮初講孝經之喜)’ 현판 : 세자(순조)가 처음으로 <효경(孝經)>을 배우기 시작하자 정조가 이를 기념하는 시를 경연관에게 주었다. 궁중 유물 전시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5. [조선후기/문화] 화성성역의궤 화성성역의궤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 조선 후기 화성 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수록한 책이다. 조선 순조 1년(1801년) 9월에 발간되었다. 2020. 1. 9. [조선후기/능묘]휘경원(徽慶園) 휘경원(徽慶園) ★ 휘경원(徽慶園) : 조선 정조의 후궁이자 조선 순조의 생모 수비 박씨의 무덤. 사적 제 360호.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5. [조선후기/정치]세도 정치(勢道政治) 세도 정치 (勢道政治) ★ 세도 정치(勢道政治) : 조선시대 특정 세력이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 정조 사후 본격화되었으며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반남 박씨 등이 대표적인 세도가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 2019. 12. 7. [조선후기/지리학]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 1834년(순조 34년) 조선의 실학자 최한기가 제작하였고 김정호가 판각하였다. 지구도(地球圖)라고도 부른다. 2019. 11. 8. [조선후기/민중봉기] 홍경래의 난 홍경래의 난 ★ 홍경래의 난(洪景來ㅡ亂) : 세도 정치에 시달리던 농민들과 부당한 차별 대우에 불만을 품어 오던 평안도 지방 사람들을 중심으로 하여, 몰락한 양반인 홍경래, 우군칙 등이 평안도에서 일으킨 농민 봉기(순조 11년~12년, 1811~1812). 홍경래는 스스로 평서대원수라 칭하고 봉기를 일으켜 청천강 이북의 8개 군을 점령하기도 하였으나 5개월만에 관군에세 토벌을 당했다. 홍경래는 총에 맞아 사망했고, 수하와 반란군 대부분은 처형당했다. 2017. 4.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