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리고분3 [삼국문화의일본전파/고구려] 일본 다카마쓰 고분 벽화 일본 다카마쓰 고분 벽화 고구려 수산리 고분의 귀족 부인 ★ 다카마쓰 고분(高松塚古墳) : 일본 나라현 다카이치군 아스카촌에 위치한 고분으로 7세기 말~8세기 초에 축조되었다. 사신도(四神圖), 별자리, 남녀 군상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으며, 고구려의 벽화와 비슷하여,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거나 고구려인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한다.★ 수산리 고분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 고분. 북한의 남포특별시 강서구역에 있다. 5세기 후반 경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하며 흙무지돌방무덤으로 외방무덤(單室墳)이다. 벽화는 인문풍속도(생활풍속도)로 주인공 부부가 시종을 거느리고 교예(곡예)를 구경하는 장면, 남자들과 양산을 든 인물, 입구를 지키는 무인상 등이 그려져 있다. 2022. 6. 15. [고구려/고분]교예도(수산리 고분) 교예도(수산리 고분) 교예도(수산리 고분) 교예도(수산리 고분, 모사) 교예도(수산리 고분, 부분실측) ★ 수산리 고분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 고분. 북한의 남포특별시 강서구역에 있다. 5세기 후반 경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하며 흙무지돌방무덤으로 외방무덤(單室墳)이다. 벽화는 인문풍속도(생활풍속도)로 주인공 부부가 시종을 거느리고 교예(곡예)를 구경하는 장면, 남자들과 양산을 든 인물, 입구를 지키는 무인상 등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28. [고구려/고분]여인상(교예도 중 부분, 수산리 고분) 여인상(교예도 중 부분, 수산리 고분) ★ 수산리 고분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 고분. 북한의 남포특별시 강서구역에 있다. 5세기 후반 경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하며 흙무지돌방무덤으로 외방무덤(單室墳)이다. 벽화는 인문풍속도(생활풍속도)로 주인공 부부가 시종을 거느리고 교예(곡예)를 구경하는 장면, 남자들과 양산을 든 인물, 입구를 지키는 무인상 등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