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종4

[조선/정치행정]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국조오례의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조선시대 다섯 가지 의례에 대하여 규정한 책. 문종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 때인 완성되었다(1474). 이후 영조 대에 이를 보완하여 속오례의(續五禮儀)>를 편찬하였다. 오례(五禮)는 다음과 같다. ◎길례(吉禮) : 종묘 제사, 왕이 사직에 제를 지내는 것, 풍수제 등◎가례(嘉禮) : 왕실 가족의 혼례, 왕비 및 왕세자, 왕세자빈 책봉, 문무과 방방의(과거 급제자 최종 발표 의식) 등. ◎빈례(賓禮) : 외교사절을 맞이하는 의례. ◎군례 (軍禮) 군대의 사열식 등, 군에서 행하는 의례.◎흉례 (凶禮) : 왕실의 장례. 2020. 1. 5.
[조선전기/능묘] 선릉(宣陵) 선릉(宣陵) ★ 선릉(宣陵) : 조선의 9대 임금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윤씨의 무덤. 위 사진은 정현왕후의 릉이며, 성종의 무덤은 정현왕후 윤씨의 무덤 아래쪽 언덕에 조성되어 있다. 정현왕후 릉의 동쪽에는 조선의 11대 왕 중종의 릉 정릉(靖陵)이 있다. 선릉(宣陵)과 정릉(靖陵)을 합쳐 선정릉(宣靖陵)이라 하는데, 3개의 능이 있어 삼릉공원이라고도 불린다. 사적 199호.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소재. 2019. 12. 21.
[조선/정치행정]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 ★ 경국대전(經國大典) :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으로 세조 대에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대에 완성하였다(1470년, 성종 1). 시간이 흐르면서 새로운 법전이 편찬되고 개정 및 페지 된 조문이 적지 않지만 기본 이념은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이어졌다. 2019. 9. 24.
[고려/정치행정] 5도양계 5도양계  ★ 5도양계(五道兩界): 고려의 지방제도. 성종 때부터 행정구역 정비를 시작하여 현종 대에 지방관제의 기본 구조를 완성하였다. 전국을 5도와 양계, 경기(개경 주변)으로 크게 나누고, 그 안에 군․현․진 등을 설치하였다. 5도는 상설 행정 기관이 없는 일반 행정 단위이고, 양계는 북방의 국경 지대에 설치한 군사지역이었다. 2016.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