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곽3

[조선후기/건축] 수원 화성의 구조 수원 화성의 구조 ★ 수원 화성(水原 華城)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와 장안구에 걸쳐 있는 5.52킬로미터의 성곽. 조선 후기 정조 때 착공하여 준공되었다(1794~1796). 화강암을 사용하는 기존 방식 대신 벽돌로 쌓았으며 정약용이 고안한 거중기를 사용하였다. 한국전쟁 당시 일부가 파괴되었으나 를 바탕으로 복원하였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3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19. 12. 18.
[조선/건축]서울 한양도성(지도) 서울 한양도성(지도) ★ 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 : 조선 시대 한양을 둘러싼 도성(都城)으로 좁게는 서울을 둘러싼 성곽과 문을, 넓게는 성곽과 그 안의 공간을 의미한다. 조선 개국 후 태조대에 처음 축조되었고(1369),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며 많은 구간이 훼손되었으나 광복 후 복원 사업으로 70% 정도가 남아있다. 2019. 9. 22.
[조선/건축]서울 한양도성 서울 한양도성 ★ 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 : 조선 시대 한양을 둘러싼 도성(都城)으로 좁게는 서울을 둘러싼 성곽과 문을, 넓게는 성곽과 그 안의 공간을 의미한다. 조선 개국 후 태조대에 처음 축조되었고(1369),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며 많은 구간이 훼손되었으나 광복 후 복원 사업으로 70% 정도가 남아있다. 2019.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