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9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이상 이상 ★ 이상(李箱, 1910~1937) : 일제 강점기의 시인, 작가,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 일제 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 작가이자 아방가르드 문학가. 본명은 김해경(金海卿). 소설 , , 수필 , 시 , 등을 저술하였다. 1937년 폐결핵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사후에 시대를 앞선 천재문학사로 평가받았으며 1977년부터 을 시상하고 있다. 2021. 3. 29.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백조> 창간호 창간호 ★ 백조(白潮) : 1922년 1월 창간된 순수 문예지로 초기 낭만주의 문학운동의 중심적 구실을 하며 3호까지 발간되었다. 1923년 폐간하였다. 2021. 3. 11. [조선전기/문학] 필운대 필운대 ★ 필운대(弼雲臺) : 조선 중기의 명신 이항복이 살던 곳으로 '필운'은 그의 호이다. 종로구 필운동의 배화여자고등학교 뒤뜰에는 큰 암벽이 있는데, 그 왼쪽에 "필운대(弼雲臺)"라는 정자(正字)가 크게 새겨져 있고, 가운데에 시구(詩句)가 새겨져 있으며, 오른쪽에 10명의 인명이 나열되어 있다. 서울특별시의 문화재자료 제9호. 2020. 5. 22. [조선전기/문학] 필원잡기 필원잡기 ★ 필원잡기(筆苑雜記) : 조선 전기에 주로 활동했던 학자인 서거정(徐居正)이 편찬한 한문 수필집. 필사본이며 2권으로 구성되었다. 규장각 소장. 2020. 5. 11. [조선전기/문학]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조선 세종이 지은 악장으로 훈민정음(한글)로 지은 최초의 장편 서사시. 세종 29년(1447)에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석보상절>을 읽고 찬가를 지어 엮은 것으로 석가모니의 공덕을 노래하였다. 3권(상 ․ 중 ․ 하)으로 수록된 노래는 500여 수로 추정되며, 현재 상권만 전한다. 국보 제320호. 2020. 4. 16. [조선후기/문화와예술]삼의당 김씨 부부의 영정 삼의당 김씨 부부의 영정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소재 ★ 삼의당 김씨(三宜堂金氏) : 조선후기 여류문인. 시문집 삼의당고(三宜堂稿)를 저술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8. [조선중기/문화] 속어면순 속어면순 ★ 속어면순(續禦眠楯) : 조선시대 문신 성여학(1557~?)이 편찬한 소담집. 송세림(宋世琳)이 편찬한 의 속편으로, 조선 시대의 육담(肉談)을 모아 편찬하였다. 2020. 2. 3. [조선/문화]서운통 서운통 ★ 서운통 : 시의 운자를 기록한 생을 뽑아서 시를 짓도록 하였다. 서울대 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2. [조선/사상과학문]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보물 제 1463호. 조선 세종 때 지은 악장 ․ 서사시로 조선 개국의 위대함과 시련을 노래하였다. 세종 27년(1445)에 지어 세종 29년(1447)에 간행하였다. 2019. 10.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