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화6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척재제시(惕齋題詩) 척재제시(惕齋題詩) 척재제시(1741), 겸재 정선, 비단에 수묵담채, 간송미술관 소장 ★ 척재제시(惕齋題詩) : 겸재 정선이 한강변의 명승명소를 그린 정선 필 경교명승첩(鄭敾 筆 京郊名勝帖) 중 한 작품. 산수화가 아닌 인물화로, 제목은 ‘척재가 씨를 쓴다’는 의미이다. 생선을 선물받고 감사의 의미로 시를 쓰고 있는 모습니다. 척재는 당시 노론의 영수였던 김보택의 호이다. ★ 정선(鄭歚, 1676~1759)은 조선의 화가, 문신. 호 겸재(謙齋).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그림으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가가 되었다. 2020. 6. 13. [조선후기/문화와예술]오상고절(심사정) 오상고절 ★ 심사정(沈師正, 1707년~1769) : 조선 후기의 화가. 정선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었으며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가 중 한사람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3. [조선후기/문화와예술]매화병제도(정약용) 매화병제도 ★ 매화병제도(梅花屛題圖) : 정약용이 강진에 유배되었을 때 그린 그림과 시로, 부인의 보낸 치마를 잘라 자식들에게 보내기 위해 그렸다. ★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중농학파(경세치용학파) 실학자로 실학을 집대성하였으며, 거중기를 만드는 등 과학에도 뛰어났다. 토지를 공동 소유하고 이를 공동경작, 공동 분배하자는 여전론을 주장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2. [조선후기/문화와예술]묵란(조희룡) 묵란 ★ 조희룡(趙熙龍, 1789~1866) : 조선 후기의 화가. 벽오시사(碧梧詩社)를 결성하고(1847)했으며, 헌종의 명으로 금강산을 유람한 뒤 이를 소재로 시를 지어 바쳤다(1849). 조정의 전례 문제에 개입했다는 이유로 임자도로 유배되기도 했다(1851~53). 서예, 그림에 모두 능했는데, 특히 서예에서는 추사체를 잘 썼으며, 그림에서는 난초와 매화를 잘 그렸다. 저서로 , 등이 있으며, 작품으로 , 등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2.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세한도(歲寒圖) 세한도(歲寒圖) ★ 김정희필 세한도(金正喜筆 歲寒圖) ; 조선 후기의 사대부 서화가 김정희가 제주도 유배지에서 수묵으로 그린 문인화(헌종 10, 1844). 유배 중인 김정희에게 북경에서 책을 구해준 역관 이상적(1804~1865)의 인품을 소나무와 잣나무에 빗대어 그려준 것이다. 그림과 김정희가 쓴 발문, 이상적의 글, 추사의 옛 친구와 명사들의 글이 그림에 이어붙인 종이에 쓰여 있다. 국보 제 180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19. 11. 29. [조선후기/문화와예술]다산 정약용필 매화병제도 다산 정약용필 매화병제도 (茶山 丁若鏞筆 梅花屛題圖) 조선, 19세기(1813), 견본담채 고려대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