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령왕릉13

[삼국문화의일본전파/백제] 백제의 청동거울과 일본의 청동거울 백제의 청동거울과 일본의 청동거울  공주 무령왕릉 출토 청동거울(의자손수대경, 6세기전반)(왼쪽)일본 간논야마 고분 출토 청동거울(6세기 후반)(오른쪽) 2024. 10. 21.
[백제/복식]백제왕과 왕비 복식(재현) 백제왕과 왕비 복식(재현)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7.
[백제/고분유물]무령왕릉 지석(왕) 무령왕릉 지석(왕) ★ 무령왕릉 지석(武寧王陵 誌石) :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25대 왕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으로 2매. 연대가 표기되어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연구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유물이다. 국보 163호.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3.
[백제/고분]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공주 송산리 고분군)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공주 송산리 고분군)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공주 송산리 고분군) :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현재 웅진동)에 위치한 백제의 왕릉들로 추정되는 고분들로 1~7호분이 복원되었다. 이중 7호분은 무령왕릉이다. 발굴 당시 지명을 따서 공주 송산리 고분군으로 불리었으나 2021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대한민국 사적 제 13호이자 유네스코 문화유산의 백제역사유적지구 중 하나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3.
[백제/고분유물]무령왕릉 동탁은잔 무령왕릉 동탁은잔 ★ 무령왕릉 동탁은잔(銅托銀盞) :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은잔. 동합금제 받침과 은제 잔과 뚜껑을 조합한 것이다. 받침과 잔, 뚜껑에는 연꽃, 용, 봉황 등이 새겨져 있으며 불교 및 도교적 세계관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
[백제]무령왕릉 발굴(1971) 무령왕릉 발굴 현장(1971) ★ 무령왕릉(武寧王陵) : 공주 송산리 고분군 가운데 7번째로 발견된 고분으로,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능으로 1971년 처음 발굴되었다. 지석이 발견으로 축조연대를 알 수 있어 삼국 시대 고고학 편년연구의 기준 자료가 되었으며, 중국 남조 양나라의 양식과 유사한 벽돌무덤이다. 또한, 지석을 비롯한 금제관식, 석수 등, 29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현재 무령왕릉은 포함한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사적 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물 대부분은 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
[백제]무령왕릉 복원도(그래픽) 무령왕릉 복원도(그래픽) ★ 무령왕릉(武寧王陵) : 공주 송산리 고분군 가운데 7번째로 발견된 고분으로,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능으로 1971년 처음 발굴되었다. 지석이 발견으로 축조연대를 알 수 있어 삼국 시대 고고학 편년연구의 기준 자료가 되었으며, 중국 남조 양나라의 양식과 유사한 벽돌무덤이다. 또한, 지석을 비롯한 금제관식, 석수 등, 29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현재 무령왕릉은 포함한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사적 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물 대부분은 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
[백제/고분]무령왕릉의 구조 무령왕릉의 구조 ★ 무령왕릉(武寧王陵) : 공주 송산리 고분군 가운데 7번째로 발견된 고분으로,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능으로 1971년 처음 발굴되었다. 지석이 발견으로 축조연대를 알 수 있어 삼국 시대 고고학 편년연구의 기준 자료가 되었으며, 중국 남조 양나라의 양식과 유사한 벽돌무덤이다. 또한, 지석을 비롯한 금제관식, 석수 등, 29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현재 무령왕릉은 포함한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사적 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물 대부분은 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
[백제]무령왕릉의 목관(복제품) 무령왕릉의 목관(복제품) ★ 무령왕릉 목관 : 무령왕릉의 왕과 왕비를 안치한 목관(木棺). 일본 규슈 지방의 금송(金松)으로 만들어졌다. 금송은 고대 일본에서 신성한 나무로 여겨 불단이나 지배층의 장례에 이용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
[백제/고분유물]무령왕 금동 신발 무령왕 금동 신발 ★ 무령왕 금동신발(武寧王 金銅飾履) : 금동신발은 삼국시대 왕릉급 고분에서 출토되는 장례용 껴묻거리(副葬品)로 무령왕릉에서는 왕과 왕비의 금동신발이 발견되었다. 왕의 신발은 발등을 덮는 2개의 측판과 1개의 바닥판으로 만들어졌으며, 안쪽에는 은판, 바깥쪽에는 맞새김(透彫)한 금동판을 덧대었다. 정으로 두드려 육각무늬를 만들고 그 안에는 맞새김으로 꽃무늬와 봉황무늬를 표현하고 달개(步搖)를 달았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
[백제/고분유물]무령왕의 금제관식 무령왕의 금제관식 ★ 무령왕 금제관식(武寧王 金製冠飾) :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의 금으로 만든 왕관(王冠) 꾸미개(장식) 한쌍. 국보 제154호, 국립 공주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31.
[백제]무령왕릉 석수 무령왕릉 석수 ★ 무령왕릉 석수(武寧王陵 石獸) :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돌 동물상(石獸). 진묘수(鎭墓獸)라고도 한다. 무덤을 수호하는 관념적인 조각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발견되었다. 높이 30.8cm, 길이 49cm, 너비 22cm로 발굴 당시 통로 중앙에서 밖을 향하여 놓여 있었다. 국보 제162호,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31.
[백제/고분]무령왕릉(내부) 무령왕릉(내부) ★ 무령왕릉(武寧王陵) : 공주 송산리 고분군 가운데 7번째로 발견된 고분으로,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능으로 1971년 처음 발굴되었다. 지석이 발견으로 축조연대를 알 수 있어 삼국 시대 고고학 편년연구의 기준 자료가 되었으며, 중국 남조 양나라의 양식과 유사한 벽돌무덤이다. 또한, 지석을 비롯한 금제관식, 석수 등, 29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현재 무령왕릉은 포함한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사적 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유물 대부분은 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