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전석탑3

[남북국/신라중대/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義城 塔里里 五層石塔)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있는 남북국시대 신라중대(통일신라)의 석탑으로 현재까지 거의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전탑과 목탑의 특징이 모두 드러나는 독특한 양식으로 모전석탑으로 분류한다. 또, 모전석탑과 석탑의 과도기와 같은 모습이어서 통일신라 전기(중대)의 작품으로 추정한다.  구조는 낮은 1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 (塔身) 은 몸돌과 지붕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붕돌 위의 장식은 흔적만 남아있다. 몸돌은 목조건물을 모방하여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조각하였고, 1층에는 감실이 있다. 지붕돌은 돌은 깍아서 짜맞추었는데, 4층과 5층은 돌 하나로 깍아 만들었다. 탑은 응회암과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9.6m이다... 2019. 6. 23.
[남북국/신라중대/탑]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봉감모전오층석탑)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봉감모전오층석탑)    수리전 수리 후  ★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英陽 山海里 五層模塼石塔)(봉감모전오층석탑) : 남북국 시대 신라의 오층 모전석탑.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산해리의 강가의 밭 가운데에 있다. 축조 방식과 구조 등을 보아 신라중대(통일신라)의 탑으로 주정한다.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模塼石塔)으로, 붉은색 이암 계통의 석재를 사용하였다. 1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렸으며,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 모두 벽돌 모양의 돌로 쌓았다. 1층 몸돌에는 감실(龕室)이 있고, 2층부터 몸돌 가운데가 돌출되어 띠를 두른 듯한 모습이다. 지붕돌은 아래윗면 모두 계단 모양의 층을 이루며, 처마의 너비는 좁아져 있다.  모전석탑 중에 원.. 2019. 6. 16.
[신라]경주 분황사 모전석탑(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모전석탑(模塼石塔). 탑은 분황사를 창건한 신라 선덕여왕 3년(634) 경에 축조한 것으로 본다. 현재 현재 3층이나 원래 7~9층이었다는 주장이 있다. 넓직한 1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쌓아올렸으며, 기단은 자연석이다. 회흑색 안산암을 작게 벽돌모양으로 잘라 탑신을 쌓아올렸다. 네 모퉁이에 화강암으로 조각한 사자상이 한 마리씩 앉아있으며, 1층 몸돌에는 네 면에 문을 만들고, 문 양쪽에 인왕상(仁王像)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계단 모양의 층을 이루고, 3층 지붕돌은 위쪽으로 둥글게 솟은 모양으로 그 위로 화강암으로 만든 활짝 핀 연꽃장식이.. 2019.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