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의원4

[조선/의학] 침구동인 침구동인 ★ 침구동인(鍼灸銅人) : 구리로 만든 인체 모형으로 경혈과 경락을 새겨 침을 놓는 자리와 혈자리를 학습을 위한 것이다. 중국 송나라(宋) 때 왕유일이 처음 제작하였고, 조선 태종 때(1415) 명나라(明)에서 동인을 하사받았다. 위 사진의 침구동인은 내의원 소장품으로 내의원 소속 의녀(醫女)의 학습용으로 사용되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2020. 5. 1.
[조선/정치행정] 의관(醫官) 의관(醫官)  드라마 의 한 장면 ★ 의관(醫官) : 의술에 종사하는 관료로 조선시대에는 내의원에 속하였다. 과거의 잡과 시험인 의과 시험을 통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2019. 12. 17.
[조선/정치행정] 의녀(醫女) 의녀(醫女)  드라마 의 한 장면 ★ 의녀(醫女) : 조선 시대의 여성 의원(醫員)으로 궁중 여성을 치료하기 위해 양성하였다. 1406년(태종 6년)에 처음으로 의녀제도를 실시하였고 세종 때 의녀 수를 늘렸다. 중종 이후 의녀를 연회에 참석시키는 등 낮은 대우를 하였다. 2019. 12. 17.
[조선/정치행정] 창덕궁의 내의원 창덕궁의 내의원   ★ 내의원(內醫院) : 조선 시대에 국왕 이하 왕족과 궁중에서 쓰이는 약을 조제하고, 백성들의 건강을 다스리던 관청. 상약(尙藥)이라고도 하였다. 지금의 보건복지부, 식약처에 해당하나, 서민에게 혜택을 주는 기관은 아니었다. 2019.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