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겨울33

눈 오리 떼 눈 오리 떼 누구의 작품일까, 정성이 대단해 2022. 2. 8.
귀엽다 귀엽다 눈 내린 다음날, 여기저기에 귀여운 눈사람들이 생겼다 2022. 2. 7.
해넘이 132 해넘이 132 2022년 1월 21일 2022. 2. 6.
발자국 발자국 2022. 2. 5.
눈 내린 풍경 눈 내린 풍경 2021. 2. 2.
눈 내린 날 눈 내린 날 2021. 2. 1.
겨울 호수 겨울 호수 2020. 12. 30.
얼어붙은 호수 얼어붙은 호수 2020. 12. 29.
눈 내린 다음날 눈 내린 다음날 2020. 12. 25.
첫눈 내린 날 첫눈 내린 날 2020. 12. 20.
눈사람 눈사람 눈 내린 뒤 여기저기에 귀여운 눈사람이 생겼다 2020. 2. 16.
[기후/계절/겨울] 호빵 호빵  ★ 호빵 : 일반적으로 겨울에 먹는 음식으로 밀가루 반죽 속에 팥이나 채소 따위의 소를 넣고 김에 쪄서 먹는 찐빵이다. 2020. 1. 16.
자작나무 자작나무 2020. 1. 15.
[기후/계절/생활] 소발구(쇠발구) 소발구(쇠발구)  발구   소발구(축제에서 재현)  ★ 소발구(쇠발구) : 소에 매어 물건을 실어나르는 썰매. 산간지역의 겨울에 이용하였다. 2020. 1. 12.
[기후/계절/생활] 설피와 현대의 설상화 설피와 현대의 설상화   설피(왼쪽), 설상화(오른쪽)  설피를 신은 모습    설상화를 신은 모습 ★ 설피(雪皮) :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 눈에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신발 위에 신고 다니는 덧신.★ 설상화(雪上靴) : 눈이나 얼음 위에서 신는 신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닥에 체인을 댄다. 2020. 1. 11.
[기후/주거] 우데기 우데기 우데기  우데기의 내부   우데기의 구조  ★ 우데기 : 눈이 많이 오는 울릉도에서 폭설에도 집안을 자유롭게 돌아 다닐수 있게 가벽(假壁)을 설치한 집. 2020. 1. 10.
[한국지리/기후] 한반도의 적설량 한반도의 적설량  ★ 적설량(積雪量) : 1시간 동안 눈이 쌓인 높이로 주로 cm를 사용한다. 쌓이는 정도에 따라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2020. 1. 8.
[기후/계절] 겨울의 한파 겨울의 한파  ★ 한파(寒波, cold wave) : 기온이 급격하게 내려가는 현상. 차가운 대륙 고기압의 발달과 북극 진동 지수가 음으로 떨어지면서 약해진 제트기류로 인해 한랭기단(cold air mass)이 저위도 지역으로 남하할 때 나타난다. 2020. 1. 7.
메타세콰이어 메타세콰이어 2020. 1. 6.
[기후/계절/자연재해] 폭설(위성사진) 폭설(위성사진)  ★ 폭설(暴雪, heavy snow)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눈이 오는 기상 현상. 각종 피해를 유발하는 자연재해이다. 한국에서는 영동지방이 폭설이 오는 경우가 많다. 2020.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