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화기경제11

[개화기/경제]보부상의 절목과 완문 보부상의 절목과 완문 ★ 보부상(褓負商) : 전통사회에서 시장을 중심으로 봇짐이나 등짐을 지고 행상을 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교환경제가 이루어지도록 중간자 역할을 했던 전문적인 상인. 상호 간에 규율, 예절, 상호 부조의 정신이 강하였다. 조선 중기 이후 장시의 발달과 함께 더욱 활발한 상업 활동을 전개하였다. 개항 이후 관군과 동학농민군 토벌에 참여하고, 황국협회를 결성하여 독립협회와 대립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의 탄압으로 보부상 조직은 거의 소멸되었으며, 일본 자본에 밀려 점차 줄어들었다. ★ 절목(節目) : 조선에서 사용한 특정한 사안에 대한 시행세칙 ★ 완문(完文) : 조선시대 관부에서 향교·서원·결사·촌·개인 등에게 발급하는 문서. 관문서. 2023. 8. 7.
[개화기/경제]바구니 장수 바구니 장수 2020. 9. 15.
[개화기/경제]종로의 싸전 종로의 싸전 ★ 싸전 : 전통 재래시장에서 쌀과 곡식을 파는 가게. 종로의 싸전에서는 전국의 곡상들이 모여 곡물을 거래하였다. 2020. 9. 14.
[개화기/경제]객주 객주 ★ 객주(客主) : 옛날부터 한국에 있었던 주요한 상업·금융기관 또는 이것을 운영하는 자. 주로 포구(항국)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으며 중개업, 운송, 보관, 숙박, 금융 등의 영업도 하였다. 포구 뿐 아니라 지방의 큰 장시에도 활동하였다. 조선 후기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과 함께 크게 번성하였다. 개항 초기에는 외국 무역의 담당자가 되어 새로운 자본 계급을 형성하기도 하였으나, 조청상민수륙장정 체결(1882) 이후 객주들은 상권을 잃고 몰락하기 시작하여 밀려드는 외국 자본에 사라졌다. 2020. 9. 13.
[개화기/경제]경강 상인 경강 상인 ★ 경강상인(京江商人) : 경상(京商)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한양(서울)의 상인으로, 한강을 끼고 경기·충청 일대에서 활약하였다. 개항 이후 외국 자본에 밀려 몰락하였다. 2020. 9. 13.
[개화기/경제]공립한성은행 광고문 공립한성은행 광고문 ★ 한성은행(漢城銀行) : 1897년 서울에 설립되었던 민족계의 근대적 은행. 민간인 대상 은행이 목표였으나 황실 및 정부 재산의 관리와 금융으로 전환하고, 1903년 공립한성은행으로 개편하였다. 1905년 금융공황으로 일본 다이이치은행(第一銀行)의 융자로 위기를 극복하였으나 다이치 은행에 의존하게 되어 일제 자본과 경영인을 끌어들이는 결과를 낳았다. 1910년 국권상실로 친일파가 경영을 장악하였다. 1919년 3.1운동 때 한국인들이 예금 인출과 1920년대의 대공황으로 다이치 은행의 구제자금을 지원받은 뒤 일본인이 경영에 참여하여 주요 직책을 독점하였다. 1928년 조선 식산 은행이 주식 상당분을 인수하여 조선 식산 은행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일제의 민족계은행통합정책에 의해, 1.. 2020. 9. 3.
[개화기/경제]대한천일은행 창립 청원서 대한천일은행 창립 청원서 ★ 대한천일은행(大韓天一銀行) : 조선 말기, 강화도 조약으로 한반도로 진출한 일본 금융업계에 대항하기 위해 1899년 설립된 민족계 은행. 초기에는 정부에게 국고금을 대여받아 쓰고 영친왕이 은행장을 맡으면서 황실과 고위층이 이용하는 특수은행의 성격을 가졌으나, 1906년 일반은행으로 변모하였다. 1911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조선상업은행으로 개편되었다. 해방 후 한국상업은행, 한빛은행을 거쳐 지금의 우리은행의 일부이다. 2020. 9. 3.
[개화기/경제]호조태환권 호조태환권 ★ 호조태환권 : 1893년 발행된 한국 최초의 지폐. 2020. 8. 14.
열강의 이권침탈 열강의 이권침탈 2017. 5. 22.
개항 후 대 일본 무역 개항 후 대 일본 무역 2017. 4. 8.
[개화기/경제]개화기의 무역량 개화기의 무역량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7.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