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화기136

[개화기/국방]대한제국 군대의 훈련 대한제국 군대의 훈련 2023. 5. 6.
[근대/의학]대한의원 대한의원 ★ 대한의원(大韓醫院) : 1907년에 대한제국 내부 소관의 서양식 병원인 광제원, 학부 소관인 의학교부속병원, 그리고 궁내부 소관인 대한국적십자병원을 통합 ․ 설립되었으며, 의정부 직속으로 운영된 국내 최고의 의료기관이었다. 지금의 대학병원(University Hospital)의 기능을 대신했다. 일제의 한국 강점(1910) 이후 조선 총독부의원이었다가 1928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병원이 되었으며, 광복(1945)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이 되었다. 1978년 서울대학교 병원 신관이 개원하며 본관 주변 건물 대부분이 철거되었다. 옛 본관은 병원 연구소로 사용되다가 현재 서울대학교 의학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2023. 4. 20.
[개화기/국방]별기군과 구식 군인 별기군과 구식 군인 ★ 별기군(別技軍) : 고종 18년(1881) 일본을 롤모델로 삼아서 창설한 신식군대. 일본인 교관이 훈련하였고 신식무기를 사용하였다. 별기군은 구식군대에 비해 급료나 피복 등 모든 대우가 좋았으며, 차별받던 구식 군인들이 임오군란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2023. 4. 6.
[개화기/열강의침략]일본인에게 발급되었던 내륙통행허가증 일본인에게 발급되었던 내륙통행허가증 ★ 일본인에게 발급되었던 내륙통행허가증 : 1898년 인천감리서에서 발행한 일본인을 위한 일종의 여권. 일본인에게 조계지 외의 지역을 여행할 수 있는 혜택을 주었다. 일본 영사가 마음대로 발행하고 인천감리서는 형식적인 승인만 하였다. 2023. 3. 31.
[개화기/열강의침략]청일전쟁 중 종로를 행군하는 일본군 청일전쟁 중 종로를 행군하는 일본군 ★ 청일 전쟁(淸日戰爭) : 청나라와 일본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 전쟁은 일본이 승리하였고 청 ․ 일 양국은 심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였다. 청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고 일본은 더욱 노골적으로 조선 침략을 추진하였다. 또한, 일본에 배상금 2억 냥(兩)을 지불하였고, 랴오둥 반도·타이완, 펑후 제도 등을 할양 및 일본에 할양 및 통상상의 특권을 부여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1. 4. 10.
[개화기/근대문물]개화기의 전차 개화기의 전차 2021. 4. 10.
[개화기/체육스포츠] 한국 최초의 야구 경기 한국 최초의 야구 경기 2021. 3. 23.
[근대/독립운동가] 나철 나철 ★ 나철(羅喆, 1863~1916) : 조선 말기의 문신, 대종교의 창시자,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사직하고 귀향하였다. 1904년 호남의 지식인들과 사인 유신회(維新會)를 조직하고, 을사조약 체결 이후 자신회를 결성, 을사오적을 암살하려 시도하였다. 그 후 구국운동의 일환으로 민족 종교 운동에 주력해 오기호 등과 함께 1909년 단군을 숭배하는 대종교를 창시했다.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일제의 박해를 피해 교단을 만주 쪽으로 이동하여 수많은 대종교인들과 함께 독립운동을 하였다. 1916년 자결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2020. 10. 27.
[개화기/정치]태극기 태극기 ★ 태극기(太極旗) : 대한민국의 국기. 1882년 고종이 조선의 군주을 상징하는 어기(御旗)인 '태극 팔괘도'를 일부 변형하여 만들었고, 조미 수호 통상 조약과 박영효 등 일본 수신사 일행이 사용하였다. 이후 태극기는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공식 국기로 사용되었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계속 정식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6.
[개화기/열강의침략]구로다 기요타카 구로다 기요타카 ★ 구로다 기요타카(黒田清隆, 1840~1900) : 일본의 무관이자 정치가. 통칭은 나카타로 료스케로 제2대 내각총리대신(재직 1888년 4월~ 1889년 10월)을 담당했으며, 계급은 육군 중장. 위계 훈등 작위는 종1위 대훈위 백작. 겐로(元老). 강화도 조약 체결 당시 일본 사절단의 대표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5.
[개화기/민속]민간의 부적 민간의 부적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5.
[개화기/민속]두통의 민간 처방 두통의 민간 처방 ★ 땅바닥에 사람을 그린 후 통증이 있는 부분에 낫을 꽂아두고 낮기를 빌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5.
[개화기/민속]장승 장승 ★ 장승(長栍) : 마을 또는 절 입구 등에 세운 사람의 얼굴 모양을 새긴 기둥. 벅수라고도 한다. 이정표 또는 마을의 수호신 구실을 한다. 일반적으로 남녀 한쌍의 모양으로 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으며 남자에는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이라 씌어져 있으며 여자에는 "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이라 씌어져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4.
[개화기/민속]탈춤 탈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4.
[개화기/민속]지붕 잇기 지붕 잇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4.
[개화기/사회와문화]조혼(早婚) [개화기/사회와문화] 조혼(早婚)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3.
[개화기/사회와문화]양반 계급 여성의 외출 양반 계급 여성의 외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3.
[개화기/사회와문화]여사수지 여사수지 ★ 여사수지(女士須知, 1907) : 노상직이 부녀자들이 배워야 할 내칙 등을 한글로 편찬한 번역서.언해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3.
[개화기]주막 주막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2.
[개화기]창의 차림의 선비 창의 차림의 선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