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기단
★ 시베리아 기단(Siberian High, Siberian Anticyclone) : 대륙성 한대 기단으로 시베리아 지역에서 발달한다. 대륙성 고기압이며, 기온이 낮고 습도도 낮다. 겨울철에 한반도에 큰 영향을 끼친다.
★ 오호츠크해 기단 : 해양성 한대 기단으로, 오호츠크해의 차가운 해상에서 발생한다. 오호츠크해 고기압이라고도 한다. 하층은 저온 다습하지만 상공은 비교적 따뜻하며, 장마나 가을비가 내리는 시기에 한반도 동쪽에는 주로 이 기단이 자리잡는다. 북태평양 기단과 부딪혀 장마전선을 생성한다.
★ 양쯔강 기단 (長江氣團) : 중국 장강 유역에서 발원하여 봄과 가을에 한반도 및 일본 일대에 영향을 주는 이동성 고기압. 봄에는 약화된 시베리아 기단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고, 가을에는 약화된 북태평양 기단으로부터 갈라져 나와 이동성 고기압이 된다. 발원하는 장강 일대가 등질적이지 않고, 공기가 장기간 정체하지 않으므로, 독립된 기단으로 보지 않는다.
★ 적도 기단 : 적도 부근에 위치하는 고온 다습한 기단.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에 띠 모양으로 분포하며, 해양성 기단이다. 계절 변화에 따라 적도 수렴대가 이동한다(적도~남북위 10도). 해양에서 증발한 대량의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열대지방에는 스콜(소나기), 열대저기압을 발생시켜 중위도와 고위도 지역에 많은 비를 내리게 한다. 한반도에는 태풍과 함께 북상한다.
★ 북태평양 기단(北太平洋氣團) : 해양성 열대 기단으로, 태평양 아열대기단 서부에 해당하며 주로 따뜻한 계절에 발달한다.북태평양 고기압(北太平洋高氣壓, North Pacific High)이라고도 하며, 고온 다습하다. 겨울엔 주로 하와이 부근에 머무르다가 날씨가 다뜻해지면 세력을 키워 서쪽으로 이동한다. 한여름에는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여 영향을 미친다. 기단이 커지고 줄어드는 과정에서 기단 가장자리에 장마가 형성되며, 태풍 경로도 이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사회과학사진자료실 > 한국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식생] 개나리, 진달래의 개화 시기(2012) (0) | 2019.05.10 |
---|---|
[기후/강수] 한반도의 강수량 (0) | 2019.05.09 |
한국 지형 단면도(동고서저東高西低) (0) | 2019.05.09 |
한국의 배타적 경제 수역 (0) | 2019.04.29 |
[국토] 대한민국의 영토 (0) | 2019.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