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도서관/역사왜곡&일제청산

[스크랩] 탈(脫)식민사관의 해법

by hwawoon 2013. 7. 14.

 

역사를 바로잡는 해법(解法)은 따로 없다. 말뜻 그대로 복잡한 문제나 상황을 풀어내는 방법일수록 기본을 지켜야 한다. 작은 차이로 더 크게 벌어지는 탓이다. 그 정의(定義)부터 내리면 식민사관(植民史觀)은 한반도 침략과 식민지배의 정당성(正當性)에 끼워 맞춘 일제의 짜깁기 역사관(歷史觀)이다. 이때 관()은 보다, 자세히 들여다보다 하는 의미다. 바로 관점이다. 역사란 지나간 과거이기에 들추는 눈길의 차이만으로도 갈래가 엇나가기 쉽다. 더불어 일반상식으로 들어설수록 바람직하다. 누구나 바른 어제를 받들어 오늘을 고르게 살피는 정신문화의 뿌리로, 그 공감대가 촘촘할수록 숨 가삐 탈바꿈하는 내일을 너른 다양성 속에서 고르게 솎아낼 수 있다. 곧 생각하는 힘이다. 갖가지 장르에서 온갖 작품들로 사회사를 1,2백년씩 앞지르는 문화예술의 밑거름이기도 하다. 다시 무형의 광장 역할을 해낸다. 생활로부터 나라살림을 잇는 국민의식이며 정치와 경제를 돌보는 살뜰한 도덕과 철학이 웃자랄 수 있다. 과정(過程)이요, 믿고 따를 순리(順理). 문화선진국들이 정치와 외교의 기본 가닥을 역사에서 읽는 까닭이다.

어느 나라든 일반 대중이 손쉽게 가늠해볼 강단사학(講壇史學)을 비롯한 기초학문의 줄기는 백과사전이 꿰차고 있다. 활자예술과 지식문화의 상징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두산대백과사전에서 식민사관에 대한 마지막 구절은 광복 이후 주체적(主體的)인 역사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지며 대부분 극복되었다하고 마무른다. 한마디로 헛소리다. 그 주체가 오체분시(五體粉?)를 해도 모자란 개아들 이완용(李完用)의 조카 이병도(李丙燾), 손자인 공학자 이장무(李長茂)는 서울대 총장을, 동생도 문화재청장을 거친 지금 용인대대학원장인 고고학자 이건무(李健茂)인데, 당당하다면 지식인집단을 북돋아 친일연구에 앞장서야 할 선조의 빚이 있거늘 대대로 제자들을 내세워 울타리만 겹겹이 두르기 급급하다. 당장 역사교과서랍시고 97.2퍼센트에 이르는 일본학자와 친일학자들이 엮어놓은 자료로 묶어낸다. 그만큼 미심쩍을 수밖에 없다. 아무리 옳더라도 역사를 비뚤어진 자들에 의해 대물림하니, 나라의 정체성(正體性) 자체가 떳떳하지 못하다.

현재 우리가 나아가는 과정도 눈에 보이는 대로 삐딱할 수밖에 없다. 결국 현재시점에서 역사를 짚는 올곧은 문제접근은 사회정의에서 풀어가야 한다. 이명박 정권 때부터 인문사회과학 단체는 물론, 각종 시민단체에 대한 정부지원은 꺼풀뿐이고, 무려 60퍼센트를 학생들에게 뜯어낸 대학운영자금에 기껏 10퍼센트 남짓만 찔러 넣으며 모기업이 47퍼센트의 세금감면혜택을 누리는 사학재단은 손발을 척척 맞춰 해마다 등록금을 올려대 그나마 터가 좁은 순수학문을 학교에서 몰아낸다. 사회에서 생각하는 머리를 잘라내는 셈이다. () 노무현 대통령이 애써 기록물에 대한 기초를 다져놓았더니, 겨우 정쟁(政爭)에나 우려먹다 못해 민주주의를 뿌리째 흔들며 나대는 박근혜와 그 추종자들은 세계최고의 기록문화유산인 팔만대장경과 금속활자에 조선왕조실록을 절대 바르게 우러를 수 없다. 나라의 골병인 이중성만 깊어질 따름이다. 건국 이후 15대까지 역대 수장들이 남긴 기록물이 고작 30여만 건이다. 공식일정 등 껍데기일 뿐 굵직한 알맹이조차 사뭇 드물다. 16대에만 자그마치 200만여 건이니, 그가 얼마나 후손들에게 본을 보이려 했는지, 설사 생트집이 잡히더라도 나라와 국민을 위해 틀을 잡으려 했는지, 생생히 드러난다.

 

 

당장 살아가는 오늘조차 어깃장이 판치는데, 역사를 바르게 살피기는 어렵다. 역사교육조차 알맞게 이루어지질 않고 있다. 흔히 이상(理想)을 이야기할 때 발은 땅을 굳건히 디딘 채 하늘을 올려다보라는 이치다. 2000년대 들어 초고속 인터넷을 통해 환단고기(桓檀古記)를 둘러싼 우리 겨레의 고대사에 나날이 커진 관심도 지나치게 앞서나간 관점이다. 오늘부터 바르게 다잡을 때 지난 반세기를, 거슬러 대한제국을, 조선시대를 거쳐 중국이 덮어버린 훙산문화를 추슬러서 환국(桓國)이든, 신시(神市)배달국이든 까마득한 과거의 세월을 문화인류학으로 흐름을 더듬고, 고고학이 현장을 뒤지며, 고미술과 유물을 하나하나 맞춰 역사를 보다 깊이 파헤칠 수 있다. 고대사는 분명히 짚어볼 수수께끼다.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사라진 기록문화를 우리는 어림짐작도 못한다. 사대주의(事大主義)로 들어선 조선의 역사관은 지금 우리를 거듭 돌아보게 하고, 7년 임진왜란은 온갖 문화재 약탈로 도자기 전쟁으로도 불리며, 고려시대 무신의 난에 없어진 사료(史料)와 그들을 강화도에서 끌어내기 위해 쇠붙이와 군량미를 빼곤 모조리 불부터 질러댄 몽골의 말발굽에 황룡사구층목탑 등 숱한 문화유산이 사라졌으니, 고대사를 다채롭게 뜯어볼 당위성(當爲性)은 적지 않다.

게다가 오늘날 우리 강단사학의 역사연구는 제자리걸음이다. 145년 만에 외규장각(外奎章閣) 의궤(儀軌)를 빌려오는 모양새로나마 돌려받기까지 고() 박병선(朴炳善) 박사가 평생을 들였지만, 정작 총 22만여 점이 넘는 도서며 서화(書畵)가 들어찬 서울대 규장각은 대충 숫자만 꼽을 뿐 세세히 연구조차 못하는 처지다. 지금도 종종 새로운 유물이 찾아지듯 여섯 명 학예관(學藝官)만으론 평생 먼지나 쓸어내는 꼴이다. 재야사학(在野史學) 역시 마찬가지다. 역사를 마냥 짓조르면 같은 단군을 모시는 형제국가인 몽고와 나라를 합치는 동시에 북한을 윽박질러서 통일을 자연스레 이루어 중국을 내리누르는 대국으로 올라선다는 판타지소설 같은 유사사학(類似史學)만 보챈다. 고려를 불바다로 짓밟았던 몽골이다. 그 잣대라면 오늘의 중국을 일군 청나라가 잇는 금의 태조(太祖) 아골타가 금사(金史)만주원류고(滿洲原流考)’와 더불어 우리나라 부안(扶安) 김씨 족보에 나오는 법명(法名)이 함보인 김행(金幸) 또는 김준(金俊)으로 그 후손들이 자자손손(子子孫孫) 애신각라(愛新覺羅)라는 성()을 썼으니, 공산당만 몰아내면 우리 땅이라는 억지소리도 판친다.

가뜩이나 일본 황실은 백제의 후손이다. 그 우국주의자들부터 한반도가 조상의 땅이라고 우길 만하다. 전세계 민족의 뿌리가 우리 배달겨레라며 메소포타미아문명 등 세계사 전체를 갈기갈기 짓찢는 환자들까지 인터넷 세상에 흔하다. 오늘도 똑바른 역사를 못 살아가는 처지에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 2009년에 100년 공소시효(公訴時效)가 끝나기 전에 간도를 국제사법재판소로 끌고 갈 공이나 들여 봤는지 스스로 되물어야 한다. 현실에 대한 가파른 욕구불만이 민족의 우월성을 부추기는 자격지심(自激之心)이다. 남북한으로 갈리지 않았다면, 나라 구석구석이 부정부패와 비리로 들끓지 않는다면, 친일파와 그 후손들이 떵떵거리는 사회가 아니라면, 그리 고대사에 현실을 빗대지도 않는다. 자기만족에 치우쳐 상대성을 고스란히 잃어버릴 따름이다. 상대적인 박탈감이 그만큼 뚜렷하다. 종교가 그렇듯 역사도 개인의 정서와 감정에 기댈수록 오늘을 들여앉힌 민족주의를 부르짖기 마련이다. 강단이든, 재야든, 아니면 유사사학이든 멀고먼 고대사를 들출수록 뿔뿔이 갈릴 수밖에 없다. 그만큼 치르지 못한 역사청산은 나라를 들볶는 지병이다.

 

 

생을 송두리째 바친 임종국(林鍾國) 선생이 없었다면 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인명사전도 나오지 못했음을 누구나 가슴에 새겨야 한다. 강단사학이 이룬 친일파 연구는 투정어린 입엣소리에 그친다. 1966년 역작 친일문학론이후 농사로 생계를 잇는 오랜 연구 끝에 정신대 실록(1981)’, ‘일제침략과 친일파(1982)’, ‘밤의 일제침략사(1984)’, ‘일제하의 사상탄압(1985)’, ‘한국문학의 민중사(1986)’, ‘친일논설선집(1987)’, ‘일본군의 조선침략사 1(1988)’, ‘일본군의 조선침략사 2(1989)’를 비롯해 실천문학사에서 내놓았던 1986년 작() ‘친일문학작품선집 1·2’도 김병걸과 김규동이 이름만 올렸을 뿐 선생의 거친 흙손이 빚어낸 책이다. 심지어 넝마주이라고 흉보던 강단사학의 떨거지들이야말로 쓸어낼 쓰레기다. 보수우익단체들마다 민족문제연구소를 좌익으로 몰아세우고, 종교와 사상의 연구조차 한솥밥을 먹는 두어 단체가 코를 꿴 채 다양한 호기심 자체를 막아선 나라가 문화대국에 창조경제 운운하니, 그 소갈머리만 코미디다. 대중상업소비문화의 천국인 일본을 쫓느라 버둥댈 뿐이다. 학계부터 생각의 폭을 가두어 길들이니, 그들의 전체주의(全體主義)가 따로 없다. 학연에 인맥으로 돌아가는 풍토부터 스승의 울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부조리(不條理). 친일의 늪이 깊은 국문학과 역사학은 더더욱 심하다. 후대가 선대를 뛰어넘는 역사의 반전(反轉)이야말로 학문이 앞장설 사회 발전의 당연한 몫이다.

자신부터 친일파의 자식으로 호되게 내쳤던 임종국 선생이었다. 헌법이랍시고 누누이 따라온 관습법을 깡그리 건너뛴 채 일본법을 알차게 베꼈던 법학자로 신민당(新民黨) 총재까지 지낸 당대의 권력자이자 소설가인 스승 유진오(兪鎭午) 역시 피해가지 않았다. 나라를 사랑하고 역사를 섬긴다면 발을 디딘 오늘부터, 그 자신을 당당하게 곧추세워야 한다. 양심껏 돌아볼 기틀이 먼저다. 갈수록 역사의식이 흐릿해지는 젊은 세대를 다그치기 전에 촛불을 들고 스스럼없이 떨쳐 일어선 그 살가운 가슴을 보듬어야 한다. 국민이 깨어 있어야 닫힌 사회의 어둠을 그나마 밝힐 수 있다. 가르침이란 함께 머리를 맞대는 나눔 속에서 소통(疏通)과 교감(交感)으로 생각의 장()을 열 때 우람한 힘을 키우고, 그것이 민주주의를 가꾸는 생활문화다. 이중성이 가파를수록 나이와 신분을 앞세워 종()으로 누르기 마련이다. 국민에 대한 약속을 저버린 독단과 독선이, 사회의 획일화(劃一化)와 양극화(陽極化), 꼭짓점으로 쏠린 경제구조도 모두 겉 다르고 속 다른 그 이중성에서 불거진다. 일본과 중국이 역사왜곡을 뻗댈 때마다 뒤늦게 볼멘소리만 내지를 수밖에 없다. 우리가 역사 주도국(主導國)으로 우뚝 나서야 한다. 독일이 좋은 본보기다. 오늘날까지 끊임없이 지난날을 반성하며 전범추적에 고삐를 늦추지 않듯 보수든, 진보든 선조와 자신들의 잘못을 낱낱이 뉘우칠 때 국민이 용서로 뜻을 합쳐 올곧은 사회정의를 일으킬 바탕이 다져진다. 역사연구를 꾸준한 국가정책으로 밀어붙일 디딤돌이다.

그마저 그림의 떡이긴 하다. 진보정당이 적어도 세 차례, 15년은 정권을 잡아야 밑그림이 그려지지만, 권력에 취했던 동료들이 노무현 대통령의 발목을 잡아챘고, 그때나 지금이나 방송언론이 여론몰이에 나선 채 그 뒤에는 국민을 조롱하는 국가기관이 있다. 무엇보다 국정원의 정치개입은 군복만 벗었을 뿐 정치군인 사태(事態). 당시 국정원이 국내정치에 매여 소위 노크귀순과 천안함 침몰 등에 얽혀 대북정보가 깡통이었을 뿐 아니라 군대기강까지 해쳤으니, 가짜군인인 연예사병에서 엿보이듯 군대비리를 철저히 들어내며 장성들도 과감히 쳐내야 한다. 어차피 넘쳐나는 별들로 위로 올라갈수록 진급이 느려 불만도 많다. 하나하나 짚으면 나라 자체가 쳇바퀴 신세다. 다시 '종편' 등 방송언론으로, 거듭 전체 유통구조를 거머쥐고 국민경제를 쥐어짜며 제 주머니만 불리는 재벌에게, 그 정경유착(政經癒着)의 다른 연결고리인 검찰을, 살을 발라서 뼈를 추려야 한다. 사회정의를 움직여야 할 3대 축이다. 모두 노통이 하려던 개혁이었다. 비록 사람이 너무 좋고 살가워서 칼질은 무뎠지만, 오래도록 받들리며 그 뜻이 섬겨질 만했다. 70퍼센트를 웃도는 국민이 당장 먹고 살기 힘들다며 족쇄를 풀어주려던 그에게 의심을 품었다. 그리곤 독재의 단물로 기름진 거짓말쟁이들을 잇달아 그 자리에 앉혀줬다. 이기심일 수밖에 없다. 단지 지역과 세대만이 아니라 27년 군사독재조차 제 입맛에 맞춰 넘겨짚는 마음의 눈과 귀가 어두운 노인네들이라 그들이 사라져야 올바른 정치를 기대할 수 있다는 악다구니가 쏟아진다. 몸뚱이는 21세기를 살지만, 머리는 박씨 조선의 백성들이 결코 적지 않다. 역시 풀지 못한 역사청산의 허물이다. 그때그때 생살을 도려내는 아픔을 치르지 않고 얼렁뚱땅 덮어줬으니, 나이가 지긋할수록 길들기 쉽다. 곧 나이가 걸림돌이 아니라 깨어 있어야 할 시대정신이다.

 

 

개혁은 살을 내주고 뼈를 취하기 위해 국민 모두가 피를 흘려야 하는데, 지역과 세대를 가르면 서로 맞서느라 누구도 아픔을 참지 못한다. 생생한 피가 층층이 파인 골마다 돌려면 더딜 수밖에 없다. 노무현 정부가 당시 한나라당의 온갖 반대를 무릅쓰고 올려놓은 기초노령연금이 이명박의 이름으로 노년층에게 새누리당을 띄워주었듯 반드시 이뤄야 할 경제민주화는 이미 훤히 드러난 자본주의의 모순을 그 틀을 지키는 점진적 사회주의(漸進的社會主義)로 경제구조 속에 녹여내고, 이를 맞물린 개혁이 평준화(平準化) 과정을 거치는 데 15년은 걸린다. 분명히 또 물고 늘어질 언론과 재벌에게 국민이 맞서야 한다. 모질게 참아낼 깜냥이 없다면 개혁은 갈등만 키우며 17, 18대 정부가 불러온 뒷걸음질만이 아니라 장기불황 속에서 4대강 뒷수습이 날름 집어삼킬 혈세는 물론, 그로인한 공공요금과 물가상승처럼 또 다른 묵직한 짐으로 국민에게 떠넘겨진다. 창조경제 운운하며 여기저기 일을 들쑤실수록 국민부담은 더한층 늘어난다. 국민에게 약속한 경제민주화를 지킬 낌새조차 보이지 않지만, 이미 6년 전부터 내리막길이 내다보였던 세계경제를 2009년에 세계석학들이 야무지게 다그쳤는데, 그 시간을 꿈속에서 살았는지 대선공약마다 온통 저 혼자 잘할 수 있다고 둘러댔으니, 어차피 공공연한 거짓말이다. 전세계가 짓조를 흐름이 아니라 다독일 침체기다. 수출에 매달린 우리나라가 경제대국마다 주춤한 마당에 내수시장까지 가라앉은 채 이명박이 그랬듯 엉뚱한 삽질을 벌일 밑천도 없다. 소리만 요란한 빈 수레바퀴마저 빠져버린다. 훗날의 발돋움을 위해 안팎을 추스를 때다.

정치란 저 혼자 나댈수록 벽에 부딪히는데, ‘새무리같은 새떼들이나 박근혜의 속내는 대한민국의 주체(主體)가 국민이 아닌 박정희가, 내가 차지할 우리 아버지가 만든 나라일 따름이다. 바로 올곧은 역사인식이 없다. 제 아비의 흠을 감추느라 일본에게는 짐짓 거드름을 피우지만, 고구려산성을 허물어 있지도 않았던 만리장성을 쌓아 동북공정(東北工程)에 설치는 중국에겐 희희낙락(喜喜樂樂)거리던 이중성만 두드러진다. 물론 정치외교란 항상 상대성을 지닌다. 노무현 대통령도 유엔의 정식 가입국가인 북한에게 민족을 위한 마땅한 예의와 도리를 지킨 데 지나지 않았다. 자신을 낮춰 대의를 취한 드레진 수장다웠다. 자신이 하면 사랑이고,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일방주의 사고방식에 이미 정치로부터 경제의 민주화는 끼어들 자리가 없다. 여야를 떠나 찌들대로 찌든 이중성이다. 1인당국민실질소득이 기껏 1482만원인데, 티끌이나마 부끄러움을 안다면 회기(會期)마다 반절도 일하지 않은 채 연봉만 15000만원에 이르도록 매년 부지런히 올려대지 못한다. 서두에 밝혔다시피 과정이자 순리인 역사에 대한 그들의 이중 잣대이기도 하다. 나라의 주권(主權)이 그렇듯 개혁의 주체도, 사회정의를 통한 역사청산으로 식민사관을 벗어나는 길도, 의병 같은 국민에게 달려 있다. 누가, 어느 정당이 정권을 잡든 국민이 바늘방석임을 알게 해야 한다. 상업소비문화의 욕구충족에 시달릴수록 그 허점을 파고든 굽어보는 정치가 아랫것 국민을 받들 리 없으니, 역사를 한낱 과거로 덮어버린 채 뜬구름 잡는 미래만 들먹이곤 한다. 영락없이 유사정치(類似政治). 어제를 얼버무린 내일은 오늘의 상처까지 몽땅 짊어지기 마련이고, 선인(先人)들의 핏물이 흥건한 역사에 대한 빚이다. 그 빚을 자식들에게, 후대에 마냥 떠넘길 것인가. 사회정의가 골고루 깃든 오늘이 국민의 피만 빨아먹는 거머리들을 몰아내고 제도를 다듬어 역사를 바르게 돌아볼 지름길이다. 그 오늘을 먼저 끌어내야 한다.

 

 

출처 : 세상과 사람들
글쓴이 : 세상을 읽는 사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