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흥왕12

[신라/국방]합천 대야성 합천 대야성 ★ 합천 대야성(陜川 大耶城) :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해발 90m의 매봉산 정상을 둘러 쌓은 성. 성벽의 길이는 300m 정도인데 대부분 훼손되어 원형이 남아있지 않으며, 부분적으로 건물터와 울타리의 흔적이 남아있다. 삼국시대에 백제와 신라 서부지방의 접경지대로, 신라 진흥왕 25년(565)에 신라가 백제의 침공을 막기 위해 쌓았다 한다. 선덕여왕 11년(642) 백제의 공격으로 함락된 적이 있으며, 경명왕 4년(920)에는 후백제 견훤에게 함락되기도 하였다.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133호. 2023. 10. 4.
[신라상대]진흥왕 순수비 진흥왕 순수비 ★ 진흥왕 순수비(眞興王巡狩碑) : 신라의 제24대 국왕 진흥왕이 한반도 각지에 세운 네 개의 순수척경비를 가리킨다.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창녕 진흥왕 척경비,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이다. 2023. 9. 23.
[신라상대/사상과학문]임신서기석 임신서기석 ★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 : 1934년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금장리의 언덕에서 발견된 자연석. 신라의 두 청년이 임신년(壬申年, 진흥왕 13, 552)에 충도(忠道)를 지키고 유교경전을 학습할 것을 맹세하는 내용을 새긴 비석.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보물 제1411호. 2019. 5. 15.
[신라]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신라의 비석. 6세기 진흥왕이 빛벌가야(현재 창녕지역)를 신라 영토로 편입한 뒤, 이곳을 순시하고 그 기념으로 세운 비이다. 비문은 마모가 심하여 알아보기 힘들지만 후반부는 비교적 명확하며, 왕을 수행한 관료의 직위, 소속 등을 판독할 수 있어 당시 지방행정조직 및 신분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축조 시기는 진흥왕 22년(561)으로 대가야가 멸망하기 1년 전이며, 에도 관련기록이 있다. 국보 제33호. 2019. 5. 15.
[신라중대/정치] 단양 신라 적성비 단양 신라 적성비 ★ 단양 신라 적성비(丹陽 新羅 赤城碑)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적성산성 내에 있는 신라 시대의 비석. 삼국시대에 신라가 죽령을 넘어 단양 일대의 고구려 영토를 차지하여 국경을 넓히고 이곳의 백성들을 선무한 내용이 담긴 기념비로, 진흥왕 6~11년(545~550)경으로 추정한다. 높이 93cm, 폭 107cm, 아랫너비 53cm. 음각으로 글자를 새겼다. 윗부분의 일부가 잘려나갔으나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글자 수는 총 430~440자 내외로 완전히 해석한 것이 288자이다. 2019. 5. 15.
[신라상대/유물유적]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磨雲嶺眞興王巡狩碑) : 함경남도 리원군의 마운령에 있던 신라 진흥왕 순수비. 진흥왕이 568년 8월에 이곳을 돌아보고 간 것을 기념하여 세운 이 비석으로, 진흥왕의 업적과 순시 목적, 비를 세운 연유, 왕을 수행한 사람들의 출신과 벼슬, 이름등이 새겨져 있다. 화강석을 네모로 다듬어 만들었으며, 높이 1.36m, 너비 45cm, 두께 30cm이고 갓돌은 배집 지붕 형식이다. 앞면에 26자씩 10줄, 뒷면에 25자씩 8줄, 모두 415자의 글이 새겨져 있눈데, 393자를 읽을 수 있다. 글씨체는 해서체이다. 당시의 역사와 서예, 이두문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16세기에 발견되어 17세 한백겸이 에 고려 윤관의 비로 소개하였으나, 1929년에 최남선이 찾아내어.. 2019. 5. 14.
[신라상대/유물유적]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黃草嶺 眞興王 巡狩碑) : 신라 진흥왕이 568년(진흥왕 29) 황초령에 건립한 순수비. 함경남도 장진군에 있다. 진흥왕이 확장된 영역을 순시하면서 세운 것으로, 비를 세우게 된 연유와 의의, 진흥왕의 업적과 순회한 목적, 수행한 사람들의 직위와 이름 등이 새겨져 있다. 당시의 신라의 영토 범위와 관직, 지명 등을 밝혀주는 귀중한 유물이다. 비석은 화강석을 다듬어 만들었으며, 파괴되어 일부만 남아 있다. 비문은 12줄에 35자씩 420자이며, 글씨는 예서체와 해서체로이다. 높이 1.17m, 넓이 44cm, 두께는 21cm이다. 북한의 함경남도 함흥력사박물관 소장. 북한의 국보 110호. 2019. 5. 14.
[신라/유물유적]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지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지 ★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지(北漢山 眞興王 巡狩碑址) :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국보 제3호)가 있던 자리. 원래의 비는 풍화가 심하여 1972년에 경복궁 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비석이 있던 자리는 사적 제228호 지정되어 표석이 세워져 있다. 2019. 5. 14.
[신라상대/정치]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위 : 앞면, 아래 : 뒷면 ★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 : 신라의 진흥왕이 새로 공략한 국경지대를 순시한 다음 세운 비(碑) 중 하나로 북한산 비봉에 세워져 있었던 비석이다. 축조 시기는 진흥왕 16년(555년) 또는 29년(568)으로 추정한다. 조선 시대 김정희가 조사하여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혀내었다(1816). 보존을 위하여 경복궁 내에 옮겨놓았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비신 높이가 1.54m, 너비가 0.69m, 두께가 0.16m. 국보 제3호. 2019. 5. 13.
[신라상대/정치]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 : 신라의 진흥왕이 새로 공략한 국경지대를 순시한 다음 세운 비(碑) 중 하나로 북한산 비봉에 세워져 있었던 비석이다. 축조 시기는 진흥왕 16년(555년) 또는 29년(568)으로 추정한다. 조선 시대 김정희가 조사하여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혀내었다(1816). 보존을 위하여 경복궁 내에 옮겨놓았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비신 높이가 1.54m, 너비가 0.69m, 두께가 0.16m. 국보 제3호. 2019. 5. 13.
[신라상대/불교유적]경주 황룡사지(慶州 皇龍寺址) 경주 황룡사지 (慶州 皇龍寺址) ★ 경주 황룡사지(慶州 皇龍寺址) : 삼국시대 신라에 있었던 사찰로, 경주에서 가장 큰 사찰이었으나 현재 터만 남아있다. 황룡사는 진흥왕 14년(553)에 시작하여 진흥왕 27년(566) 또는 선덕여왕 14년(645)에 준공되었으며, 황룡사 9층목탑과 장륙삼존불상(丈六三尊佛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다. 고려 고종 25년(1238)]에 몽골 제국의 침입으로 소실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소재. 사적 제 6호. 2019. 5. 9.
[신라상대]신라의 발전 신라의 발전 2015.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