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국시대168

[신라상대/유물유적]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磨雲嶺眞興王巡狩碑) : 함경남도 리원군의 마운령에 있던 신라 진흥왕 순수비. 진흥왕이 568년 8월에 이곳을 돌아보고 간 것을 기념하여 세운 이 비석으로, 진흥왕의 업적과 순시 목적, 비를 세운 연유, 왕을 수행한 사람들의 출신과 벼슬, 이름등이 새겨져 있다. 화강석을 네모로 다듬어 만들었으며, 높이 1.36m, 너비 45cm, 두께 30cm이고 갓돌은 배집 지붕 형식이다. 앞면에 26자씩 10줄, 뒷면에 25자씩 8줄, 모두 415자의 글이 새겨져 있눈데, 393자를 읽을 수 있다. 글씨체는 해서체이다. 당시의 역사와 서예, 이두문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16세기에 발견되어 17세 한백겸이 에 고려 윤관의 비로 소개하였으나, 1929년에 최남선이 찾아내어.. 2019. 5. 14.
[신라상대/유물유적]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黃草嶺 眞興王 巡狩碑) : 신라 진흥왕이 568년(진흥왕 29) 황초령에 건립한 순수비. 함경남도 장진군에 있다. 진흥왕이 확장된 영역을 순시하면서 세운 것으로, 비를 세우게 된 연유와 의의, 진흥왕의 업적과 순회한 목적, 수행한 사람들의 직위와 이름 등이 새겨져 있다. 당시의 신라의 영토 범위와 관직, 지명 등을 밝혀주는 귀중한 유물이다. 비석은 화강석을 다듬어 만들었으며, 파괴되어 일부만 남아 있다. 비문은 12줄에 35자씩 420자이며, 글씨는 예서체와 해서체로이다. 높이 1.17m, 넓이 44cm, 두께는 21cm이다. 북한의 함경남도 함흥력사박물관 소장. 북한의 국보 110호. 2019. 5. 14.
[신라상대/정치]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 : 신라의 진흥왕이 새로 공략한 국경지대를 순시한 다음 세운 비(碑) 중 하나로 북한산 비봉에 세워져 있었던 비석이다. 축조 시기는 진흥왕 16년(555년) 또는 29년(568)으로 추정한다. 조선 시대 김정희가 조사하여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혀내었다(1816). 보존을 위하여 경복궁 내에 옮겨놓았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비신 높이가 1.54m, 너비가 0.69m, 두께가 0.16m. 국보 제3호. 2019. 5. 13.
[신라/정치행정]울진 봉평리 신라비 울진 봉평리 신라비 ★ 울진 봉평리 신라비(蔚珍 鳳坪里 新羅碑) :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비석. 1988년 발견되었다. 비무 일부가 마모되어 정확한 판독은 어려우나 신라 법흥왕 11년(524)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각장방형의 자연 화강암에 한 면을 다듬어 비문을 새겼는데, 예서풍의 10행 398자로 이루어져 있다. 규모는 작으나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비와 유사하다. 비문의 내용은 당시 신라의 영토확장으로 인한 지역 주민과의 분쟁과 이 처리 과정 및 결과 등이다. 6세기 신라의 영토, 율령체제, 왕권의 한계, 관료제도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국보 제242호. 2019. 5. 13.
[신라/공예]악기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모습의 인물 토우 악기를 연주하고 노래하는 모습의 인물 토우 ★ 토우(土偶) : 흙으로 만든 사람이나 동물의 상. 주술적인 의미를 갖는 경우가 많았다. 2019. 5. 8.
[신라/공예]다산을 기원하는 여성 토우 다산을 기원하는 여성 토우 ★ 토우(土偶) : 흙으로 만든 사람이나 동물의 상. 주술적인 의미를 갖는 경우가 많았다. 2019. 5. 7.
[신라/고분유물]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陶器 騎馬人物形 明器) : 5~6세기의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말을 탄 1쌍의 토우(土偶). 1924년 경상북도 경주시 금령총에서 출토되었다. 말을 타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으로 주인과 하인으로 보인다. 하나는 3각형 모자를 쓰고 정장(正裝)을 하고(주인), 다른 하나는 꼭지 달린 모자를 쓰고 있다(하인). 주인상은 높이 23.4cm, 길이 29.4cm이고, 하인상은 높이 21.3cm, 길이 26.8cm이다. 명기 내부는 비어있고 말 엉덩이 말 엉덩이 위에는 아래로 구멍이 뚫린 잔 또는 솥 모양의 물구멍이, 앞 가슴에는 긴 부리가 있어 물을 따를 수 있다. 신라인의 영혼관과 복식, 무기, 말갖춤 상태, 공예의장(工藝意匠) 등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국보 제9.. 2019. 5. 7.
[신라]인물 토우 인물 토우 ★ 토우(土偶) : 흙으로 만든 사람이나 동물의 상. 주술적인 의미를 갖는 경우가 많았다. 2019. 5. 7.
[신라/고분유물]경주 계림로 보검(慶州 鷄林路 寶劍) 경주 계림로 보검 ★ 경주 계림로 보검(慶州 鷄林路 寶劍)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미추왕릉 지구에서 발견된 칼. 칼집과 칼은 썩어 없어져 버리고 금장식만이 남아 있다(길이 36cm). 자루의 끝부분이 골무형이고 가운데 석류석을 박았다. 칼집 부분 위쪽의 납작한 판에는 태극무늬 같은 둥근무늬를 넣었다. 유럽과 중동지방에서 발견되는 양식으로, 동·서양 문화교류의 한 단면을 알 수 있다.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보물 제635호. 2019. 5. 3.
[신라/고분유물]경주 계림로 보검과 중앙아시아의 장식보검 경주 계림로 보검과 중앙아시아의 장식보검 ★ 경주 계림로 보검(慶州 鷄林路 寶劍)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미추왕릉 지구에서 발견된 칼. 칼집과 칼은 썩어 없어져 버리고 금장식만이 남아 있다(길이 36cm). 자루의 끝부분이 골무형이고 가운데 석류석을 박았다. 칼집 부분 위쪽의 납작한 판에는 태극무늬 같은 둥근무늬를 넣었다. 유럽과 중동지방에서 발견되는 양식으로, 동·서양 문화교류의 한 단면을 알 수 있다.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보물 제635호. 2019. 5. 3.
[신라/고분유물]황남대총 북분 금제 굽다리접시 황남대총 북분 금제 굽다리접시 ★ 황남대총 북분 금제 굽다리접시(慶州 路西洞 金製頸飾)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대총 북쪽 봉분에서 출토된 금으로 만든 굽다리접시(고배)이다. 높이 10cm, 주둥이 지름 10cm, 무게는 169g. 토기 굽다리접시의 형식으로 금으로 제작하였고 장식을 더했다. 실용품이라기 보다는 껴묻거리(부장품)로 보인다. 보물 제626호. 2019. 5. 2.
[신라/고분유물]천마총 금제 허리띠(天馬塚 金製銙帶) 천마총 금제 허리띠 ★ 천마총 금제 허리띠(天馬塚 金製銙帶) : 경상북도 경주시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 시대의 허리띠(과대)와 띠 드리개. 길이 125㎝, 띠드리개(요패)의 길이는 73.5㎝이며, 뚫은 장식이 있는 44개의 판을 연결하고, 주변에 9개의 구멍이 있어 가죽에 고정시켰다. 양끝에 허리띠고리(교구)를 달았다. 과대에서 늘어뜨린 장식은 13줄로 타원형 금판과 사각형 금판으로 연결하였다.관 안에서 피장자가 착용한 상태로 발견되었다.국립경주박물관 소장. 국보 제 190호. ★ 과대 : 직물로 된 띠의 표면에 사각형의 금속판을 붙인 허리띠. 2019. 5. 2.
[신라/정치행정]화백회의 화백회의 드라마 중 한 장면 ★ 화백(和白) : 고대 신라에서 나라의 중대사와 규율을 의논하던 귀족 회의 제도. 의결 방법은 만장일치제였다. 2019. 4. 30.
[신라/유적]경주 월성(慶州 月城) 경주 월성(慶州 月城) ★ 경주 월성(慶州 月城)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에 있는 신라시대에 궁궐. 지형이 초승달처럼 생겼다하여 신월성 또는 반월성이라 불렀다. 2017년부터 발굴조사중이다. 101년(파사왕 22)에 건립되었다는 기록과 달리 4~5세기 경에 완공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적 제16호. 2019. 4. 30.
[신라/인물]혁거세 거서간 혁거세 거서간 ★ 혁거세 거서간(赫居世 居西干, BC 69~AD 4, BC 57~AD 4) : 신라의 초대 국왕. 거서간은 진한의 말로 왕 혹은 귀인의 칭호라 한다. 는 혁거세가 백마가 낳은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였으나 사소부인(娑蘇夫人)이 혁거세 거서간을 낳았다는 전설도 함께 전한다. 혁서세가 태어난 알이 박과 같이 커서 성을 박(朴)으로 지었다고 한다. 2019. 4. 29.
[신라]경주 나정 유적에서 발견된 건물터 경주 나정 유적에서 발견된 건물터 ★ 경주 나정(慶州 蘿井) :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탄강전설(誕降傳說)이 깃든 우물.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소재. 사적 제245호. 2019. 4. 29.
[가야]마제석검(경남 김해 율하 출토) 마제석검 (경남 김해 율하 출토)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8.
[가야]왓소 마츠리(일본) 왓소 마츠리(일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6.
[가야]집 모양 토기 집 모양 토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5.
[삼국/대외관계]당염립본왕회도의 삼국 사신 당염립본왕회도의 삼국 사신 왼쪽부터 신라, 고구려, 백제 사신 ★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 양직공도(梁職貢圖)의 모사본 중 하나로, 7세기 경의 것으로 추정한다. 노국(虜國)부터 여단국(女蛋國)에 이르기까지 총 24개국 26명의 사신이 조공하는 모습과 기사가 실려있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 사신이 모두 그려져 있다. 비단에 채색. 폭 28.1cm, 길이 238.1cm.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