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국시대168

[삼국]삼국의 통일 과정 삼국의 통일 과정 2023. 10. 21.
[삼국]6~7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6~7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2023. 10. 18.
[신라/정치행정]신라 농민의 조세와 역 신라 농민의 조세와 역 2023. 10. 11.
[신라]신라 여왕의 복식 신라 여왕의 복식 2023. 10. 10.
[신라]신라 왕과 왕비의 복식 신라 왕과 왕비의 복식 2023. 10. 9.
[신라/국방]합천 대야성 합천 대야성 ★ 합천 대야성(陜川 大耶城) :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해발 90m의 매봉산 정상을 둘러 쌓은 성. 성벽의 길이는 300m 정도인데 대부분 훼손되어 원형이 남아있지 않으며, 부분적으로 건물터와 울타리의 흔적이 남아있다. 삼국시대에 백제와 신라 서부지방의 접경지대로, 신라 진흥왕 25년(565)에 신라가 백제의 침공을 막기 위해 쌓았다 한다. 선덕여왕 11년(642) 백제의 공격으로 함락된 적이 있으며, 경명왕 4년(920)에는 후백제 견훤에게 함락되기도 하였다.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133호. 2023. 10. 4.
[신라/불교유물]경주 남산 삼화령 석조 삼존불상 경주 남산 삼화령 석조 삼존불상 ★ 경주 남산 삼화령 석조 삼존불상 (慶州 南山 三花嶺 石造 三尊佛像) : 삼국시대 신라 의 불상. 본존 높이 162㎝, 좌협시보살 90.8㎝, 우협시보살 100㎝. 경주 남산의 북봉에서 있었으며,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다. 체구와 얼굴이 어린아이처럼 표현하고 표정이 온화하며, 의상을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7세기 신라 불상의 양식이 잘 드러나 있다. 조성 연대는 선덕여왕 13년(644)로 추정한다. 2023. 9. 26.
[신라상대]진흥왕 순수비 진흥왕 순수비 ★ 진흥왕 순수비(眞興王巡狩碑) : 신라의 제24대 국왕 진흥왕이 한반도 각지에 세운 네 개의 순수척경비를 가리킨다.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창녕 진흥왕 척경비,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이다. 2023. 9. 23.
[신라상대/정치행정]경주 남산 신성비 경주 남산 신성비 ★ 경주 남산 신성비(慶州南山新城碑) : 신라 진평왕 13년(591) 신라 도성인 경주의 남산에 산성(남산 신성)을 쌓을 때 축성 공사와 관련한 내용을 새겨 세운 비석. 지금까지 총 10개의 비석이 발견되었는데, 각 비문의 내용과 형식은 대체로 비슷하다. 축성 시기, 공사 구간, 공사 인원, 관리자의 책임 여부 등이 기록되어 있다. 2023. 5. 1.
[신라/정치행정]울진 봉평리 신라비(탁본) 울진 봉평리 신라비(탁본) ★ 울진 봉평리 신라비(蔚珍 鳳坪里 新羅碑) :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비석. 1988년 발견되었다. 비무 일부가 마모되어 정확한 판독은 어려우나 신라 법흥왕 11년(524)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각장방형의 자연 화강암에 한 면을 다듬어 비문을 새겼는데, 예서풍의 10행 398자로 이루어져 있다. 규모는 작으나 고구려의 광개토대왕비와 유사하다. 비문의 내용은 당시 신라의 영토확장으로 인한 지역 주민과의 분쟁과 이 처리 과정 및 결과 등이다. 6세기 신라의 영토, 율령체제, 왕권의 한계, 관료제도 등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국보 제242호. 2023. 4. 9.
[신라/정치행정]포항 냉수리 신라비 포항 냉수리 신라비 ★ 포항 냉수리 신라비(浦項 冷水里 新羅碑) : 경상북도 영일군(현재 포항시) 신광면 냉수리에서 발견된 신라 시대의 석비. 신라 지증왕 4년(503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1989년에 발견되었다. 자연석의 앞면, 뒷면, 윗면 삼면에 글을 새겼으며, 앞면 12행 152자, 뒷면 7행 59자, 윗면 5행 20자 등 총 231자가 쓰여져 있다. 비문은 지증왕을 비롯한 신라 6부의 대표 7명이 주민의 재산 상속 문제에 대해 논의한 내용이다. 국보 제264호. 현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신광면사무소 마당에 있다. 2023. 4. 7.
[신라/유적]경주역사유적지구 경주역사유적지구 월성지구와 대릉원지구 ★ 경주역사유적지구(慶州歷史遺蹟地區) : 2000년 12월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대한민국의 세계유산으로 경주시 일대의 신라 유적,유물들.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월성지구(月城地區), 황룡사지구(黃龍寺地區), 산성지구(山城地區), 남산지구(南山地區), 대릉원지구(大陵苑地區)의 5개 지구로 나뉜다. 2023. 3. 27.
[백제/유적]서울 풍납동 토성 유적의 창고 유구 서울 풍납동 토성 유적의 창고 유구 ★ 서울 풍납동 토성 (서울 風納洞 土城) : 백제시대 초기(한성백제) 한강변에 흙으로 쌓은 평지성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백제의 왕성유적이다. 서울 송파구에 있다. 원래는 둘레는 3.5㎞에 달하는 대규모 토성이었으나, 한강과 맞닿은 서쪽 성벽이 유실되어 지금은 2.1km정도만 남아있다. 토성 내부에서 발굴조사에서 중요 유구와 수만점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한성백제기 최고 상류층 사용 주요시설이 확인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31.
[백제/고분유물]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금동관모 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금동관모 ★ 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금동관모(瑞山富長里古墳群出土金銅冠帽)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에 있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의 널무덤 목관 내에서 출토된 금동관모. 제작 시기는 4~5세기로 추정한다. 백제의 왕이 서산 지역 유력자에게 하사한 것으로 추정하며, 당시 서산 지역이 지역의 주요 거점임을 보여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27.
[백제/국제관계]백강 전투(白江戰鬪) 백강 전투(白江戰鬪) ★ 백강 전투(白江戰鬪) : 663년 백강(현재 금강 하구)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이 벌인 전투. 660년 나당 연합군에 백제가 멸망하자 유민들은 부흥운동을 벌였고, 백제와 긴밀한 관계였던 왜(倭)는 백제 부흥운동을 지원하였으며, 663년 대규모의 수군을 파병하였으나, 백강(금강 하구)에서 나당엽합군과의 전투에서 패하여 전멸하였다. 내분과 왜의 원군마저 패하면서 백제 부흥운동은 결국 실패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26.
[백제/인물]계백 장군 묘 계백 장군 묘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 소재 ★ 계백(階伯, ? ~ 660) : 백제 말기의 군인. 660년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침략할 때 군사 5천을 이끌고 황산벌에서 5만의 신라군과 네 차례의 전투를 벌인 끝에 백제군이 전멸하고 계백도 전사했다. 성충, 흥수와 함께 백제의 충신이라 불린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24.
[백제/정치]백제의 멸망 백제의 멸망 ★ 백제의 멸망 : 660년에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멸망한 사건.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23.
[백제/고분]의자왕 가묘 의자왕 가묘 ★ 의자왕 가묘 : 부여 왕릉원(능산리 고분군)의 고분군 내에 조성된 의자왕과 그의 아들 부여융의 가묘. ★ 의자왕(義慈王, 599~660, 재위 641 ~ 660) : 백제의 제 31대 왕이자 마지막 왕. 이름은 부여의자(扶餘義慈)며 망국의 군주이기 때문에 시호를 받지 못했다. 젊은 시절 해동증자(海東曾子)라 칭송받았으나 말년에 방탕과 실정을 일삼았다, 660년 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가 멸망하자 왕족들과 함께 당나라 낙양으로 끌려갔다. ★ 부여융(扶餘隆, 615~682) : 백제의 왕족이자 당나라 장군으로 의자왕의 아들 중 한명이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에 귀순하여 백제 부흥운동 토벌에 협조하고 당나라의 백제군공 웅진도독으로 부임하여 백제 유민들을 약탈하였다. 당나라에서 광록대부 태.. 2022. 12. 17.
[백제/고분벽화]동하총(능산리 1호분) 백호도 동하총(능산리 1호분) 백호도 ★ 동하총(東下塚, 능산리 1호분) : 부여 왕릉원(능산리 고분군)의 고분 중 하나로 백제에서 보기 드문 벽화고분이다. 화강암과 편마암을 다듬어 축조한 굴식돌방무덤이며 널방 벽에는 사신도(四神圖)가 천정에는 인동과 연꽃 구름 등이 그려져 있다. 백제 사비시대(538~660)에 축조되었으며 고분군 서쪽에서는 백제 왕실 절로 추정되는 능산리 절터가 발견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16.
[백제/고분]동하총(능산리 1호분) 동하총(능산리 1호분) ★ 동하총(東下塚, 능산리 1호분) : 부여 왕릉원(능산리 고분군)의 고분 중 하나로 백제에서 보기 드문 벽화고분이다. 화강암과 편마암을 다듬어 축조한 굴식돌방무덤이며 널방 벽에는 사신도(四神圖)가 천정에는 인동과 연꽃 구름 등이 그려져 있다. 백제 사비시대(538~660)에 축조되었으며 고분군 서쪽에서는 백제 왕실 절로 추정되는 능산리 절터가 발견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