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속공예14

[백제/고분유물]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금동관모 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금동관모 ★ 서산 부장리 고분군 출토 금동관모(瑞山富長里古墳群出土金銅冠帽)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에 있는 서산 부장리 고분군의 널무덤 목관 내에서 출토된 금동관모. 제작 시기는 4~5세기로 추정한다. 백제의 왕이 서산 지역 유력자에게 하사한 것으로 추정하며, 당시 서산 지역이 지역의 주요 거점임을 보여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2. 27.
[조선/공예]옛 보신각 동종 옛 보신각 동종 ★ 옛 보신각 동종(舊普信閣 銅鍾) : 조선시대 만들어진 종. 1985년까지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의 종을 칠 때 사용되었고, 이후 보호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겼다. 보물 제 2호. 현재 보신각에 걸린 종은 성덕대왕 신종을 복제한 것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 2020. 1. 28.
[조선전기/공예]남양주 봉선사 동종 남양주 봉선사 동종 ★ 남양주 봉선사 동종(楊州 奉先寺 銅鍾) : 조선 세조의 비 정희왕후가 봉선사를 다시 지을 때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만든 종. 보물 제397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3.
[통일신라]상원사 동종 상원사 동종 국보 제 36호 통일신라, 남북국 시대 상원사 소재(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6. 27.
[통일신라]성덕대왕 신종 비천상 성덕대왕 신종 비천상 국보 제 19호 통일신라, 남북국시대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6. 27.
[통일신라]성덕대왕 신종 명문 성덕대왕 신종 명문 국보 제 29호 통일신라, 남북국시대 국립 경주 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6. 22.
[신라/고분유물]천마총 금제 허리띠(天馬塚 金製銙帶) 천마총 금제 허리띠 ★ 천마총 금제 허리띠(天馬塚 金製銙帶) : 경상북도 경주시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 시대의 허리띠(과대)와 띠 드리개. 길이 125㎝, 띠드리개(요패)의 길이는 73.5㎝이며, 뚫은 장식이 있는 44개의 판을 연결하고, 주변에 9개의 구멍이 있어 가죽에 고정시켰다. 양끝에 허리띠고리(교구)를 달았다. 과대에서 늘어뜨린 장식은 13줄로 타원형 금판과 사각형 금판으로 연결하였다.관 안에서 피장자가 착용한 상태로 발견되었다.국립경주박물관 소장. 국보 제 190호. ★ 과대 : 직물로 된 띠의 표면에 사각형의 금속판을 붙인 허리띠. 2019. 5. 2.
[신라/고분유물]금제 새날개 모양 금관 장식 금제 새날개 모양 금관 장식 ★ 금제 새날개 모양 금관 장식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위치한 신라시대 고분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제 관식. 천마총 금제 관식(天馬塚 金製 冠飾)이라고도 한다. 관모의 앞쪽에 꽂는 장식구로, 새의 날개(鳥翼形) 모양이다. 3개의 금판을 연결하여 만들었으며, 날개 모양 금판에는 간략화된 용무늬 혹은 풀넝쿨무늬가 촘촘하게 뚫리고, 약 400개 이상의 달개(瓔珞) 매달아 매우 화려하다. 새 날개모양 관 장식은 신라의 지배자를 상징하는 위세품이며, 신라의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의 수장묘에서도 출토된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618호. 2019. 5. 1.
[신라/고분유물]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관 ★ 황남대총 북분 금관(皇南大塚 北墳 金冠) :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의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금관. 신라 금관의 전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높이 27.5cm, 아래로 늘어뜨린 드리개(수식) 13∼30.3cm. 국보 제191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황남대총(皇南大塚) : 경주 98호분.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신라 시대 고분. 내물왕, 실성왕, 눌지왕, 자비왕의 왕릉으로 추정한다. 경주 일대의 최대 규모의 고분이다. 북쪽과 남쪽 2개의 무덤이 있으며, 북분에는 여성이, 남분에는 남성이 묻혀 있다. 2019. 5. 1.
[백제/공예]백제 금동대향로 백제 금동대향로 ★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 : 백제에서 만들어진 금동제 박산로. 부여 나성과 능산리 고분군 사이에서 주차장 공사중에 발견되었다(1993년). 제작 시기는 6세기 초로 추정하며, 발굴 조사로 일대가 백제의 왕실 절터(능산리 절터)였음이 밝혀졌다. 불교와 도교적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으며 백제의 뛰어난 금속 공예와 예술적 역량을 보여준다. 국보 제287호. 국립 부여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6.
[백제/공예]칠지도 칠지도 ★ 칠지도(七支刀) : 일본 나라현 덴리시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에 보관 중인 철제 칼. 길이 74.9cm의 양 옆으로 모두 6개의 가지가 뻗은 모양으로 앞면에 35자, 뒷면에 27자의 금상감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다. 제작 연대가 6세기로 추정한다. 한국 역사학계는 칠지도가 백제왕이 일본왕에게 하사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고, 일본은 일본서기의 신공황후의 삼한정벌에 대한 증거라 주장하며 침략을 정당화하는 데 악용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8.
금동 장식 금동 장식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2.
[고구려/공예]금동 봉황 장식 금동 봉황 장식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2.
금동보살입상(보물333호) 금동보살입상 (보물333호) 15.1㎝. 보물 제333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