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중급문제풀이10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30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위 지도는 동학농민운동의의 사적을 표시하고 있다. 동학농민운동은 고부 민란으로 시작되었다(1894). 전봉준을 중심으로 한 농민군은 고부 군수 조병감의 전횡과 수탈에 항거하여 봉기하.. 2018. 7. 3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9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가)는 세도 정치 시기이다. 정조 사후 3대(순조, 헌종, 철종) 60년에 걸쳐 외척 가문인 안동 김씨, 풍양 조씨 등의 소수의 특정 가문이 권력을 장악하고 휘둘렀다. 이 시기에는 왕권이 약화.. 2018. 7.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8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가) 는 흥선대원군이다. 흥선대원군은 어린 고종을 대신하여 섭정의 지위에 올라 권력을 장악하고 과감한 개혁을 단행하였다. 세도정치를 혁파하고 능력에 따라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비.. 2018. 7. 2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7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가) 홍경래의 난(순조 11, 1811~12) 조선 후기, 세도정치 시기에 평안도 지역에서 일어난 농민 반란이다. 서북 지방에 대한 차별과 세도정치 하의 수탈에 시달리던 민중이 대거 가담하였다. .. 2018. 7. 2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6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조선 전기의 5위 중심의 중앙군 체제는 16세기 이후 제 기능을 하지 못하였고, 왜란과 호란을 거치며 국방력 강화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중앙군을 5군영 체제로 재편하였다(훈련도감, 어영.. 2018. 7. 2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5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⑤ 문제풀이 대동여지도(1861)는 김정호(?~1864)가 전국을 답사하여 제작한 지도이며 산맥, 하천, 도로 등이 정밀하고 자세히 표현되었다. 축척은 1/160,000 이고 10리마다 눈금을 표시하여 거리를 쉽게 알 수.. 2018. 7. 2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4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⑤ 문제풀이 왜란과 호란은 거치며 침체되었던 조선의 자기 공예는 조선 후기의 경제 발전과 함께 다시 부흥하였다. 왕실과 상류층이 쓰던 백자가 민간에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며, 청화, 철화, 진사 등 .. 2018. 7. 2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3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가)는 비변사이다. 비변사는 전쟁이나 군사적 문제가 있을 때 설치하는 임시기구이다. 3포왜란(중중 5, 1510) 때 처음으로 설치하였으며, 을묘왜변(명종 10, 1555)이 발생하자 상설기관이 되었.. 2018. 7. 2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2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가)는 영조(재위 1724~1776)이다. 영조는 탕평책을 펼쳐 붕당정치를 억누르고 왕권 강화를 꾀했다. 노론의 강경파를 축출하고 남인과 소론을 고루 등용하였으며, 성균관에 탕평비를 세워(1742.. 2018. 7. 2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1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가)는 광해군 때의 집권 세력인 북인이다. 선조 때 사림은 동인과 서인으로 분열되어 붕당을 형성하였다. 정여립의 모반사건(기축옥사, 1589~1591)으로 동인은 큰 타격을 입었으나, 정철이 .. 2018. 7. 2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20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⑤ 문제풀이 임진왜란(1592~1598) 때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의 수군(전라좌도 수군)의 활약으로 왜군을 여러번 격퇴하였다. 덕분에 곡창지대인 호남 지역을 지켜내어 왜군의 보급을 차단하여 큰 타격을 주.. 2018. 7. 2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9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16세기 이후 각지에서 서원과 향약이 설립되었다. 서원은 지방의 사족(士族)들이 학문(성리학)을 연구하고 유교의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는 것이 본래 목적이었다. 최초의 서원은 백운동 서.. 2018. 7. 2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8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조선은 숭유억불 정책을 실시하였으나 불교의 신앙적 영향력까지 막을 수 없었다. 왕실에서도 절을 짓고 불경을 간행하시도 하였다. 조카(단종)의 왕위를 찬탈한 세조는 불교에 의지하였.. 2018. 7. 1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7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⑤ 문제풀이 왕은 고려의 공민왕이다. 공민왕(재위 1351~1374)은 원의 쇠퇴와 원명교체기의 혼란을 이용하여 개혁과 반원정책을 추진하였다. 공민왕은 친원세력의 중심인 기철 일파를 숙청하고(1356), 정.. 2018. 7. 1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6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가)는 정방이다. 무신정변 이후 무신들은 무신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다. 무신들의 고려의 정치기구인 2성 6부제를 도외시하고 자신들만의 권력기관을 만들어 전횡을 일삼았다. 정.. 2018. 7. 1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5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망이 ․ 망소이의 난(공주 명학소의 난, 1176) 무신정변(1170)년 이후 무신들의 권력다툼과 횡포로 고려 백성의 삶은 나락으로 떨어졌다. 무신들을 백성의 토지를 빼앗아 대농장을 경영하고 .. 2018. 7. 1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4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가)의 인물은 김부식(金富軾, 1075 ~1151)이다. 고려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 역사가이다. 대표적인 개경파 문벌귀족으로 서경파인 묘청 세력과 대립하였다. 묘청세력은 풍수지리설을 기반으.. 2018. 7. 1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3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은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 백운화상 경한(景閑)이 선(禪)의 요체를 깨닫는 데에 필요한 내용을 뽑아 엮은 책을 입적 후인 1377년 간행하였.. 2018. 7. 1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2 제 3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중급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신하 하대의 혼란으로 지방 호족들이 성장하여 각지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키운 호족들이 생겨났다. 그 중 가장 강성했던 견훤과 궁예가 후백제와 후고구려를 세워 후삼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송악(.. 2017. 6. 1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중급 11 제 30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중급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⑤ 문제풀이 고려는 성종때부터 지방행정 조직을 정비하기 시작하여 현종 때 영토를 5도 양계로 나누었다. 일반행정구역인 5도(5道, 서해도, 교주도, 양광도, 경상도, 전라도)와 군사지역인 양계(북계, 동계)로 구.. 2017. 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