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220 분서갱유 焚書坑儒 분서갱유 焚書坑儒 진시황(秦始皇)이 유학 서적을 불태우고 선비와 학자들을 생매장한 사건을 이르는 것으로 가혹한 법과 폭정을 뜻하기도 한다. 분서갱유 (사진출처 : 민족신문) 진나라(秦)는 여섯 나라를 복속시켜 통합함으로서 전국시대(戰國時代)에 종지부를 찍었다. 진왕 영정(嬴.. 2014. 2. 4. 부마 駙馬 부마 駙馬 공주의 부군, 임금의 사위를 뜻한다. TV 사극 속 부마 (사진출처 : MBC 해를 품은 달) 옛날 농서(隴書 : 현재 감숙성甘肅省) 지역에 신도탁(辛道度)이라는 젊은이가 훌륭한 스승을 찾아 옹주(雍州)로 가고 있었다. 날이 저물 무렵, 큰 저택이 보여 하룻밤 재워 줄 것을 청했다. 주.. 2014. 1. 29. 서제막급 噬臍莫及 서제막급 噬臍莫及 배꼽을 물려고 해도 입이 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기회를 잃고 후회해도 아무 소용없음을 의미한다. ( 사진출처 : 구글 )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주나라(周) 장왕(莊王) 때의 일이다. 초나라(楚) 문왕(文王)은 신나라(申, 현재 하남성河南省)를 공격하기로 결.. 2014. 1. 28.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엎지른 물은 다시 그릇에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주나라(周) 시조 무왕(武王)의 아버지 희창(姬昌, 서백西伯이라고도 하며 훗날 文王으로 추존되었다)은 이 사냥을 나갔다가 위수(渭水 : 황하의 지류)에서 낚시를 하는 노인을 만났.. 2014. 1. 27. 백전백승 (百戰百勝) 백전백승 (百戰百勝) 백 번 싸워 백 번 이긴다는 뜻으로, 싸울 때마다 승리한다는 의미이다.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제나라(齊) 출신 병법가 손자(孫子 : 孫武)는 오왕(吳王) 합려(闔閭 : B.C. 514년 ~ B.C. 496년)의 휘하에서 활동하였다. 그가 쓴 손자 모공편 (孫子 謀攻篇)에 이러한 글이 있.. 2014. 1. 26. 백안시(白眼視) 백안시(白眼視) 흰자위를 내보이며 흘겨본다는 의미로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는 것을 의미한다. (사진출처 : 위키백과) 중국 위진시대(魏晉時代 : 3세기 후반),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사람인 완적(阮籍)은 세상을 등지고 술과 음악에 취해 살았다. 그는 특히 세속적인 예의범절은 몹시 싫.. 2014. 1. 25. 백아절현 (伯牙絶絃) 백아절현 (伯牙絶絃) 백아가 악기의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벗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의미이다.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백아(伯牙)는 금(琴)의 명인이었다. 그의 벗 종자기(鐘子期)는 언제나 연주를 듣고 감상을 말하곤 했는데, 백아의 마음을 귀신같이 헤아렸다. .. 2014. 1. 24. 백발삼천장 (白髮三千丈) 백발삼천장 (白髮三千丈) 흰 머리카락의 길이가 삼천 길이라는 뜻으로, 중국 문학의 과장법을 이르는 말이다. 지금은 터무니없이 부풀린 것은 비꼬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 1년 만에 파기한 공약들 ‘미생지신’ 운운하며 내건 공약은 ‘백발삼천장’ 같은 허풍이었.. 2014. 1. 23. 백미 (白眉) 백미 (白眉) 흰 눈썹이라는 의미로 무리 중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가장 훌륭한 것을 의미한다. 삼국지 게임의 마량 캐릭터 뛰어난 재능과 흰 눈썹 때문에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의 주인공이 되었다(사진출처 :구글) 중국을 통일했던 진 ․ 한(秦 ․ 漢) 시대가 저물고 위(魏) ‧ 촉(.. 2014. 1. 22. 백문불여일견 百聞不如一見 백문불여일견 百聞不如一見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는 뜻으로,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다. 취업지망생의 토익 점수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올라가지만 인사담당자는 가장 쓸모없는 스펙으로 영어를 꼽았다 영어보다는 실무 경험이 훨씬 필요하지 않을까 (사진출.. 2014. 1. 21. 백면서생 白面書生 백면서생 白面書生 얼굴이 하얀 선비라는 의미로 책만 읽고 세상 경험이 없는 젊은이들을 이르는 말이다. 수많은 젊은이들이 스펙에 엄청난 노력과 돈을 쏟아붓지만, 막상 취업하면 실무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무의미한 스펙 경쟁에 백면서생만 늘어나고 있다 (사진출.. 2014. 1. 20. 백년하청 百年河淸 백년하청 百年河淸 백 년을 지나도 황하(黃河)의 물이 맑아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무리 기다려도 이루어지기 어려운 경우를 의미한다. 종종 가능성이 없는데도 무작정 기대하며 기다리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정치가 깨끗해지기를 바라는 것은 백년하청일까? 정국을 뒤흔들고.. 2014. 1. 17. 배중사영 杯中蛇影 배중사영 杯中蛇影 술잔 속에 비친 뱀의 그림자라는 뜻으로 쓸데없이 의심하여 고민하는 것을 의미한다. 진나라(晉 : A.D. 265년 ~ 316년)에 악광(樂廣)이라는 사람은 몹시 가난하여 독학했지만 신중하고 총명하여 사람들이 늘 칭찬하곤 했다. 나중에는 관직에 등용되었는데 모든 일을 신중.. 2014. 1. 16. 배수지진 (背水之陣) 배수지진 (背水之陣) 물을 등지고 친 진을 친다는 뜻으로 위험을 무릅쓰고 결사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고조 유방(漢高祖 劉邦)이 황제가 되기 직전(B.C.204년)이었다. 한나라의 명장 한신(韓信)은 위나라(魏)를 점령하고 연이어 조나라(趙)를 침략했다. 그러나 조나라도 만만치 .. 2014. 1. 15. 배반낭자 杯盤狼藉 배반낭자 杯盤狼藉 잔과 접시가 마치 어지럽게 흐트러져 있다는 뜻으로, 거나하게 술을 마시는 모습이나 술자리가 끝날 무렵 잔과 접시가 뒤엉켜 흐트러져 있는 모습을 의미한다. 연일 불야성을 이루는 거리 매일 배반낭자(杯盤狼藉)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진출처 : 디트뉴스 24) 중국 .. 2014. 1. 14. 방약무인 傍若無人 방약무인 傍若無人 옆에 사람이 없는 듯 여긴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을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 진나라(秦)가 중국을 통일하기 직전이었다. 위(衛)나라 사람 형가(荊軻 : 진시황 암살을 시도하다 실패한 자객)는 위나라 군주가 자신.. 2014. 1. 13. 반식재상 伴食宰相 반식재상 伴食宰相 반식은 주빈과 함께 음식을 대접 받는다는 뜻이다. 주빈은 아니지만 주빈과 같은 대우를 받는 경우를 의미한다. 반식대상은 자리만 차지하고 꼬박꼬박 급료만 축내는 무능한 사람을 비꼬는 말이다. 2013년 벽두에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은 국회의원연금법을 통과시키며 .. 2014. 1. 12. 반근착절 盤根錯節 반근착절 盤根錯節 얽히고 설킨 뿌리와 마디라는 뜻으로 매우 복잡하여 해결하기 어려운 일을 의미한다. 박근혜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미사 국정원의 대선개입은 박근혜의 반근착절(盤根錯節)이 되어버렸다 (사진출처 : 한겨레 ) 후한(後漢) 6대 황제인 안제(安帝: A.D.106년 ~A.D.125년)는 .. 2014. 1. 11. 미생지신 尾生之信 미생지신 尾生之信 미생의 믿음이란 뜻으로 약속을 굳게 지킨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지식하고 융통성 없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노나라(魯)에 미생(尾生)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약속을 반드시 지키는 사람이었다. 어느 날, 미생은 연인과 다리 밑에서 .. 2014. 1. 10. 미봉 彌縫 미봉 彌縫 빈 구석이나 잘못된 것을 임시변통으로 꾸며대어 맞춘다는 의미이다. 카드 수수료 인하 요구가 높아지자 카드사들은 무이자 하루와 마일리지 등의 혜택을 줄였다 소비자들의 반발이 커지자 무이자할부 서비스를 재개하였지만 근본적인 해결이 아닌 미봉책이라는 비난을 받았.. 2014. 1. 2. 이전 1 2 3 4 5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