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220

회귤 懷橘 회귤 懷橘 품속의 귤이라는 뜻으로 지극한 효성을 일컬는다. 후한(後漢) 말엽 손권(孫權)의 참모를 지낸 육적(陸績)이 어릴 적 일화이다. 육적이 6살 때 당대의 명문가인 원술(袁術)의 집에 심부름을 갔었다. 원가(袁家)는 대단히 부유하여 심부름 온 육적에게 귤을 내어 대접하였다. 육적.. 2017. 11. 13.
저력지재 樗櫟之材 저력지재 樗櫟之材 가죽나무와 상수리 재목이라는 뜻으로, 아무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가죽나무(左)와 상수리나무(右)(사진출처 : 구글) 가죽나무와 상수리나무는 동아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로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는 강인한 나무이다. 가죽나.. 2017. 10. 30.
걸해골 乞骸骨 걸해골 乞骸骨 해골을 빈다는 뜻으로, 관료가 나이 들어 정사를 볼 수 없을 때 든 군주에게 물러나기를 청하는 말이다. 과거에 노신(老臣)이 은퇴할 때 쓰던 말이다. 항우의 책사 범증, 항우에게 충성을 바쳤지만 버림받고 객사하고 말았다 범증을 비롯한 많은 내친 항우는 천하제패의 꿈.. 2017. 10. 21.
건곤일척 乾坤一擲 건곤일척 乾坤一擲 하늘과 땅을 걸고 주사위를 한번 던진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승패를 겨루거나 모든 것을 하늘에 맡기고 결행함을 이른다. (사진출처 : 초한지) 진(秦)이 망하고 각지에서 군웅들이 일어나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그 중 가장 두각을 나타낸 자가 초패왕 항우(초覇王 項.. 2016. 2. 15.
개권유익 開卷有益 개권유익 開卷有益 책을 펼치면 유익하다는 의미로 독서를 권할 때 사용되는 성어이다. 송나라(宋) 태종(太宗)은 책읽기를 무척이나 즐겼으며 특히 역사서를 좋아하였다. 태종은 이방(李昉)을 비롯한 10여명의 학자에서 사서(辭書 : 백과사전)을 편찬할 것을 명하여, 7년 만에 빛을 보았다... 2016. 2. 8.
간담상조 肝膽相照 간담상조 肝膽相照 간과 쓸개를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마음을 터놓고 진심으로 사귀는 일, 또는 그러한 사이를 말한다. (사진출처 : 구글) 당송팔대가 중 당대의 문장가 한유와 유종원은 매우 절친하여 사람들은 이 둘을 합쳐 한유(韓柳)라 부를 정도였다. 유종원은 뛰어난 문인이.. 2016. 2. 1.
각주구검 刻舟求劍 각주구검 刻舟求劍 (사진출처 : 다음키즈넷 ) 전국시대(戰國時代), 초나라 청년이 배를 타고 양자강을 건너다가 실수로 칼을 강에 빠트렸다. 청년은 단검으로 칼을 떨어뜨린 뱃전에 표시를 해 두었다. 배가 뭍에 이르자 청년은 표시한 뱃전 밑 강물로 뛰어들어 칼을 찾았지만 칼이 있을 리.. 2016. 1. 25.
경국지색 傾國之色 경국지색 傾國之色 나라를 기울게 할 만큼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미모(美貌)가 매우 뛰어난 여인을 의미한다. 이 시대의 경국지색은 누구? (사진출처 : 스포츠서울, 스타일M, 프런티어타임스, TV데일리 ) 중국 한무제(漢武帝)때 협률도위(음악을 관장하는 벼슬) 이연년(李延年)은 무제에게 .. 2016. 1. 20.
결초보은 結草報恩 결초보은 結草報恩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은혜를 잊지 않고 보답한다는 의미이다.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진나라(晉) 문공(文公)의 휘하에는 위무자(魏武子)라는 뛰어난 장수가 있었다. 그는 전장에 나갈 때마다 두 아들 위기(魏顆)와 위과(魏錡)에게 자신이 죽거든 애첩(愛.. 2016. 1. 19.
견토지쟁 犬免之爭 견토지쟁 犬免之爭 개와 토끼의 다툼이란 뜻으로 둘이 싸우는 사이에 제 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익을 보는 일, 또는 횡재함을 비유하며 쓸데없는 싸움을 뜻하기도 한다. (사진출처 : 대전일보) 전국시대 제 나라에는 순우곤(淳宇髡 )이라는 세객(說客)이 있었다. 제나라 왕이 위나.. 2016. 1. 18.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 춘추시대(春秋時代) 말엽, 당시 노나라(魯)는 조정의 실세 대부(大夫) 계손자(季孫子)의 학정과 전횡으로 백성들이 고통받고 있었다. 어느날, 공자(孔子)와 그 제자들이 태산(泰山)을 지나고 있을 때였, 여인의 애절한 울음소리가 들렸다. 일행이 살펴보니 무덤 셋.. 2016. 1. 18.
약롱중물 藥籠中物 약롱중물 藥籠中物 약장 속의 약이라는 뜻으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사진출처 : 한국환경공단블로그) 측천무후(이후 무후)가 제위에 있을 때 뛰어난 인재가 있으면 신분이나 출신을 가리지 않고 등용했는데 적인걸도 그 중 하나였다. 그는 청렴하고 강직하며 .. 2015. 3. 25.
성혜 成蹊 성혜 成蹊 샛길이 생긴다는 뜻으로 덕(德)이 높은 사람 굳이 알리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흠모하는 사람이 모이는 것을 비유한다. (사진출처 : 구글) 전한 6대 황제인 경제(景帝)때 명장으로 이름 높은 이광(李廣)이라는 장수가 있었다. 당시 한나라는 흉노(匈奴)와 전쟁 중이었는데, 이 광은 .. 2015. 3. 24.
준조절충(樽俎折衝) 준조절충 樽俎折衝 술자리에서 적의 창끝을 꺾는다는 뜻으로, 외교나 교섭으로 일을 유리하게 담판 짓거나 흥정함을 이르는 말이다. 예나 지금이나 파티는 불꽃 튀는 협상의 장이다 (사진출처 : 구글)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장공(莊公)은 신하인 최저(崔杼)의 손에 죽임을 당하자 장.. 2015. 3. 20.
불수진拂鬚塵 불수진拂鬚塵 수염에 붙은 티끌을 떨어준다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아부하거나 비굴하게 구는 것을 비유한다. (사진출처 : 구글) 송(宋 : 北宋, 960∼1127년)의 4대 황제인 인종(仁宗 : 1022∼1063년) 때 구준(寇準)이라는 재상이 있었다. 구준은 정의감이 강하고 강직하기로 유명했다. 그는 뛰어.. 2015. 3. 20.
사면초가 四面楚歌 사면초가 四面楚歌 ‘사방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래’ 라는 뜻으로 적에게 포위된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상태, 위기에 처했을 때 헤쳐나갈 방법이 없는 상황을 뜻한다. 항우와 우미인의 이야기를 다운 경극 '패왕별희' 사진은 영화 패왕별희의 한 장면이다. (사진출처 : 다음영화 ) ‘.. 2015. 3. 19.
시오설(視吾舌) 시오설 視吾舌 ‘내 혀를 보라’는 뜻으로 말할 수만 있다면 천하를 움직일 수 있다는 뜻이다. 전국시대, 위나라(魏)의 장의(張儀)는 가난했지만 말쏨씨가 뛰어났고 머리도 명석했다. 그는 권모술수에 능한 귀곡자(鬼谷子)의 문하로 들어가 학문을 익혔는데 후일 합종책(合縱策)으로 6국.. 2015. 3. 18.
흥청망청 興淸亡淸 흥청망청 興淸亡淸 조선의 10대 군주 연산군의 음행(淫行)에서 비롯된 성어로, 돈이나 물건 따위를 아끼지 않고 마구 쓰는 행위를 이른다. 성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연산군(燕山君, 1476년~1506년, 재위 1494년~1506년)은 조선 역사에서 최악의 폭군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폭군이.. 2014. 4. 23.
불입호혈 부득호자 不入虎穴不得虎子 불입호혈 부득호자 不入虎穴不得虎子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고는 호랑이 새끼를 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서는 큰일을 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귀여워라...(사진출처 : KBN) 후한(後漢)의 장군 반초(班超)는 흉노를 물리치고 서역 교역로를 개척하는 데 혁혁한 공을 .. 2014. 2. 8.
불구대천지수 不俱戴天之讎 불구대천지수 不俱戴天之讎 함께 하늘을 이고 살 수 없는 원수란 뜻으로 원한이 매우 깊은 경우에 사용한다. 과거에는 부모를 죽인 원수를 이르기도 했다. 일본 우익들의 폭주가 끝을 모른다 위안부 소녀상에 말뚝테러를 가하고 소녀상과 나체사진을 합성하는 악행을 저질렀다 일본.. 2014.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