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운의 역사사회교실에서 제공하는 교육정보 및 체험탐방 정보입니다.
사회탐구 정복하기 ② 통합사회
관련 과목 : 사회 계열 전 과목
통합 사회는 지망 계열에 상관없이 수강해야 하는 필수 과목이다. 통합사회는 기존의 문 ․ 이과 구분이 폐지되면서 통합과학과 함께 신설되었다. 예전의 <일반 사회>에 해당되는 과목이다. 수능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내신에는 포함되므로 절대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통합사회의 내용을 살펴보면 이름처럼 사회 계열의 모든 과목과 연결되어 있다. 한마디로 9과목의 내용을 뭉뚱그려 한 권에 모아 넣었다고 보면 된다. 아래 표는 통합 사회와 사회탐구 과목과의 연계성을 나타낸 것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연결된 내용이 더 많지만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만 추렸다.
[표1]통합사회와 사회탐구 과목의 연계성
표를 보면 통합 사회를 신경 써서 공부해야 하는 이유가 보인다. 내신을 잘 받아야 하는 것이 첫 번 째 이유이지만, 통합사회를 공부하면서 스스로의 실력을 파악하고 3년 동안의 학습 계획을 짜야 한다.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어떤 과목을 선택해야 가장 높은 성적을 얻을 수 있을 것인지, 어떤 과목을 선택하지 말아야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또한, 수능에 어떤 과목을 선택할지도 어느 정도 결정을 해 두어야 한다. 수강하지 않는 과목을 수능 선택과목으로 정하면 시간이 2배로 들기 때문에 효율적인 입시 준비에 걸림돌이 된다.
안타깝게도 많은 학생들이 통합 사회를 배우다가 사회를 포기하는데, 이 시기는 사회탐구의 기초를 다질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다. 2학년 때 부터는 여러 선택과목을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부족한 기초를 보충할 시간이 없다. 중학교 때 사회를 충실히 공부했다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많은 학생들의 사회 실력은 곧 무너져 내실 부실한 건물 같은 수준이다. 2, 3학년보다 비교적 여유가 있는 1학년 때 자신의 부족한 점을 파악하고 대비해 두어야 한다. 선택과목 전체를 엮어놓은 통합 사회는 자신의 부족한 점을 파악할 수 있는 가늠자가 되므로, 자신의 실력을 파악하고 선택 과목을 대비하는 기회로 여기고 꼼꼼히 공부해야 한다. 특히 1학년 시기를 잘 활용하지 않으면 2, 3학년이 되어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통합사회 교과서를 살펴보면 난이도가 그리 높지 않지만 여러 과목을 묶어 놓았기에 학습량이 매우 많다. 많은 학생들이 엄청난 양에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며 포기하기도 한다. 학교에서도 자세히 가르쳐 줄 시간이 없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진도를 나간다. 학생들은 스스로 예습 ․ 복습을 하든 선행학습을 하든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따라가기가 쉽지 않다.
한편 교사의 수업 방식에 따라 준비도 달라야 한다. 개론적 방식과 발표 ․ 토론 중심 방식이 대표적인이다. 전자는 교사가 강의하는 일반적인 수업 방식이고, 후자는 주제별 발표 ․ 토론 중심으로 수업을 이끌어간다. 특히, 후자는 중학 사회를 통해 기초적인 지식은 다 배웠다는 가정 하에 진행되므로 학생 스스로 수업 내용을 미리 숙지해야 따라갈 수 있다. 전자는 기초가 부족한 다수의 학생에게 유리하고, 후자는 성적이 높거나 선행 또는 예습으로 미리 준비한 학생에게 유리하다. 그러나, 앞서 말한 대로 전자의 경우라 해도 학습량 자체가 많으므로 학생 개인의 노력이 받쳐주지 않으면 진도를 따라가기 힘들다.
현행 교육 시스템은 주어진 시간에 비해 학습량이 많고 예전처럼 학교에서 보충 수업을 할 수도 없으므로 수업 진도가 매우 빠르다. 미리 준비하지 않은 학생은 뒤처질 수 밖에 없다. 특히 통합 사회는 그 정도가 더욱 심하다. 가장 좋은 방법은 중학교 때 사회 기초를 튼튼히 해 두는 것이겠지만, 고등학교 진학 전에 짧게라도 내용을 미리 숙지해 두는 것이 좋다. 앞서 말한 대로 통합 사회를 공부하다가 사회탐구 자체를 포기하는 일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 필자는 역사와 사회를 가르치고 있으며, 글의 모든 내용은 역사 ․ 사회 수업에 대한 것입니다.
'화운의역사사회교실 > 교육체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탐구 정복하기 ④ 세계사 (0) | 2019.09.24 |
---|---|
사회탐구 정복하기 ③ 한국사 (0) | 2019.09.23 |
사회탐구 정복하기 ① 프롤로그 (0) | 2019.09.21 |
2020년 대입 수시 일정 (0) | 2019.09.02 |
2022년 대학수학능력시험 주요 변경 사항 (0) | 2019.08.19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