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여행/오늘의 역사 2

다락방에서 세상을 뒤집다

by hwawoon 2014. 3. 14.



1883년 3월 14일 칼 마르크스 타계

 





다락방에서 세상을 뒤집다

 

 


 

 

  <자본론>만큼 20세기 역사를 뒤흔든 책이 있을까? 1990년대 공산주의의 몰락했어도 <자본론>의 영향력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런던의 셋방에서 가난에 시달리며 <자본론>을 썼던 마르크스조차도 이처럼 엄청난 파장을 일으킬 줄 몰랐으리라.

 

  철학과 유물론에 심취했던 마르크스는 언론운동을 하며 경제의 중요성을 깨닫고 급진적인 사회운동에 뛰어들었다. 정부의 탄압을 피해 파리와 런던으로 망명하여 활동과 저술작업을 계속하였다. 고달픈 망명생활 중에도 1848년 발표한 <공산당 선언>을 비롯한 사회 ‧ 경제 관련 서적을 세상에 내놓았으며 <자본론>의 초고를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베를린의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동상

 

 

 

  동료 엥겔스가 그의 유고를 정리 ‧ 편집하여 <자본론>은 빛을 보게 되었다. 자유시장경제에 대한 비판과 19세기 당시 탐욕스런 영국 자본에 대한 비판을 담은 이 책은 세계 역사를 뒤흔들었다. 러시아 혁명, 스페인 내전 등 굵직굵직한 사회주의 혁명과 사건의 이론이 되었고 20세기 후반 냉전시대까지 공산주의 국가의 사상적 기반이었다. 공산주의가 몰락한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 사민주의가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을 보면 <자본론>의 영향력은 아직도 유효하다.

 

 

 

 

 

   

 

● 참고문헌 및 자료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미야자키 마사카츠, 오근영 역, 랜덤하우스코리아, 2011년)

자본주의 공산주의(이원복, 동아출판사, 1992년)

먼나라 이웃나라(이원복, 고려원미디어, 1992년)

마르크스의 수난시대?(참세상, 2006년 9월 12일)

마르크스의 부활(중앙일보, 2012년 3월 1일)

조선닷컴

경향신문 KHAN으로 보는 역사

위키백과

다음백과사전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인문학여행 > 오늘의 역사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략자의 대박, 주인의 재앙  (0) 2014.03.15
신 자유주의의 습격  (0) 2014.03.15
사학(私學)의 맨 얼굴  (0) 2014.03.14
조금만 더 버티지 그랬어요   (0) 2014.03.13
소리가 날개를 달다  (0) 201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