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초급문제풀이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1

by hwawoon 2021. 1. 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1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 18호)

   고려 전기의 건축 양식인 주심포 양식(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로 고려 중기에 지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1376년 중수된 건물로, 배흘림 기둥과 항아리형 보 등, 고려의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무량수전과 더불어 안동 봉정사 극락전과 예산 수덕사 대웅전 이 주심포 양식의 대표적인 건물이다.

 

 

① 보은 법주사 팔상전(국보 제55호)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의 법주사에 있는 목조 5층탑으로, 목탑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으나 인조 2년(1624)에 사명대사가 재건했다고 전한다.

 

② 경복궁 근정전(국조 제 233호) : 조선의 법궁 경복궁의 정전(正殿)으로, 조선 태조 때 지었으며(1395), 왕의 정무, 국가 행사 등을 치르는 중요한 건물이었다.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으나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선으로 다시 지었다(1868).

 

③ 경주 불국사 대웅전(보물 제1744호) : 원래 신라시대에 지었으나(751), 지금의 건물은 조선 시대에 지은 것이다(영조 41, 1761). 정면 5칸, 측면 5칸, 조선 후기의 다포 양식을 보여주며, 건 당시의 기단과 석등이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