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지 기본 사용법
1.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다만, 알파벳(소문자)이나 아라비아 숫자 등은 한 칸에 두 자씩 쓰는 것이 좋으며, 모든 문장 부호도 각각 한 칸을 차지하는 것이 좋다.(알파벳 대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
20 |
01 |
년 |
|
8 |
월 |
|
26 |
일 |
에 |
|
발 |
표 |
된 |
|
< |
한 |
국 |
인 |
의 |
|
체 |
형 |
|
보 |
고 |
서 |
> |
에 |
|
의 |
하 |
면 |
, |
고 |
등 |
학 |
생 |
의 |
신 |
장 |
은 |
|
평 |
균 |
|
17 |
5 |
cm |
로 |
|
밝 |
혀 |
졌 |
다 |
. |
또 |
한 |
|
W |
ha |
t |
|
di |
d |
|
yo |
u |
|
sa |
y |
|
th |
at |
|
fo |
r |
? |
|
w |
와 |
|
ue |
의 |
|
차 |
이 |
|
|
|
|
|
|
|
|
|
|
|
2. 문단의 첫머리는 한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쓰기 시작한다. 이것은 새로운 문단의 시작을 의미한다. 새로운 문단이 시작될 때에만 첫 칸을 비운다. (줄의 맨 끝이 비울 칸이 없을 경우엔 다음 줄 첫 칸을 비워서는 안 되며, 이런 경우 줄의 맨 끝에 띄어쓰기 표(∨)를 하고 다음 줄 첫 칸은 붙여 쓴다.)
|
∨ |
3. 띄어쓰기는 맞춤법 통일안에 따라 써야 하며, 문장 부호 다음 칸에도 비우는 것이 원칙이나 반점(,)과 온점(.) 다음에는 한 칸을 비우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
? |
4. 느낌표(!)나 물음표(?) 등은 한 칸의 가운데에 쓰나, 따옴표(" "), 반점(,), 온점(.) 등은 칸의 구석에 치우치도록 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누 |
구 |
니 |
? |
" |
5. 부호가 찍혀야 할 자리에 줄이 끝나고 다음 줄로 넘어갈 경우, 그 부호를 다음 줄 첫 칸으로 넘기지 말고, 마지막 칸 속에 함께 표시해 준다. 이는 줄 첫머리가 '.'이나 ','로 시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
( |
중 |
략 |
) |
|
|
너 |
는 |
책 |
을 |
읽 |
어 |
야 |
한 |
다. |
6. 대화는 줄을 바꾸어 쓰되 큰따옴표(" ")를 붙인다. 줄의 첫 칸을 비우고, 둘째 칸에 따옴표가 오게 한다.
|
그 |
러 |
나 |
, |
여 |
기 |
서 |
|
기 |
억 |
할 |
|
것 |
은 |
|
김 |
만 |
중 |
의 |
소 |
론 |
이 |
다 |
. |
그 |
는 |
|
|
|
|
|
|
|
|
|
|
|
" |
우 |
리 |
|
나 |
라 |
의 |
|
시 |
문 |
은 |
|
그 |
말 |
을 |
|
버 |
리 | |
|
고 |
|
타 |
국 |
의 |
말 |
을 |
배 |
우 |
니 |
|
가 |
령 |
|
십 |
분 |
|
첫머리 쓰기
|
|
【참고】제목의 글자도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② 제목을 쓸 때에는 문장 부호 사용에 주의한다. |
3) 소속과 성명 【참고2】학교명을 단어별로 띄어 쓴 것은 띄어쓰기 원칙과 시각적인 효과를 고려한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 붙여 쓸 수 있다.
④ 학교명 앞에 지명을 기입할 때는 학교명을 모두 붙여 써서 지방을 표시하는 지명과 학교명의 구분을 명확히 해 준다. |
본문 쓰기 |
1) 한 칸 한 자의 원칙
|
|
2) 숫자와 알파베트 ① 로마 숫자와 알파베트 대문자, 그리고 낱자로 된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베트 소문자는 '한 칸 한 자의 원칙'에 따르되, 두 자 이상의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베트 소문자는 한 칸에 두 자씩 쓴다. |
|
3) 한 칸 들여쓰기 ① 글이 시작될 때, 문단이 바뀔 때마다 그 행의 맨 첫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쓴다. |
4) 두 칸 들여쓰기 |
5) 첫 칸 채우기 |
원고지의 한 칸은 활자 하나의 간격이므로 띄어쓰기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꼭 띄어 쓸 경우에 한 칸을 비우지 않거나 띄어 쓰지 않을 단어를 띄어 놓으면 의미 파악에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띄울 공란이 왼편의 첫 칸에 해당될 때에는 비우지 말고 그 대신 오른편 난외 여백에 띄움표(∨)를 하여 띄어씀의 표시만 해 준다. 인쇄를 전제로 하지 않는 원고나, 첫(두) 칸을 비우는 인용문과 대화에도 똑같이 적용되나, 흔히 생략하기도 한다.
|
7) 줄바꾸기 ① 글의 문단이 완전히 종결되었을 때에는 마침표를 찍고 줄바꾸기를 한다. 새로운 문단이 시작되는데도 줄바꾸기를 하지 않고 앞 문단에 이어 쓰거나, 반대로 줄바꾸기를 안 해도 될 동일한 문단의 내용을 줄 바꾸어 쓰게 되면 의미가 연결되지 않아 글이 비약되든가 단절되는 수가 있다. |
8) 한 줄 비우기 다음과 같은 경우, 한 줄을 비운다.
[참고3]. 시나 시조에서 연을 구분하기 위하여 줄을 비울 때에도 [참고2]와 같이 한다.
|
9) 한자 및 그 밖의 외국 글자 사용 ① 묶음표 안에 넣기 ② 논술문을 작성할 때 바람직하지 못한 한자 사용의 보기 |
문장 부호 |
1) 부호표시법 문장 부호는 정성들여 정확하게 표시한다. |
2) 한 칸 1부호의 원칙 문장 부호는 한 글자로 취급한다. 따라서 한 칸에 하나씩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3) 두 칸 이상을 차지하는 부호 두 자 또는 그 이상의 간격을 차지하는 문장 부호는 그 간격대로 칸수로 차지한다. |
4) 연속되는 부호 문장 부호가 잇달아 나오거나, 문장 부호와 숫자, 알파베트 등이 연이어 쓰일 때에는 각각 다른 칸에 쓴다. |
5) 줄 끝에서의 부호 처리 ① 글자가 오른쪽 끝 칸을 차지하여 문장 부호를 찍을 칸이 없을 때는 끝 칸에 글자와 함께 넣거나 오른쪽 여백에 처리한다. (새줄 첫 칸에 찍지 않는다.) |
6) 부호와 띄어쓰기 모든 문장 부호는 윗 말에 붙여 쓰고 다음 한 칸을 비운다. 단, 쉼표( , ), 마침표( . ), 쌍점( : ), 쌍반점( ; ) 등 비교적 간단한 부호와 줄표(―) 다음 칸은 구태여 비워 두지 않아도 되며, 따옴표와 묶음표 다음은 띄어쓰기의 원칙에 따라 조사 등이 나오면 이어쓰고 그 외의 경우는 한 칸 비운다.
|
1)교정 부호 1 |
|
2)교정 부호 2 |
|
3)교정 부호 3 |
|
4)교정 부호 4 |
|
'언어와과학도서관 > 논술&국어&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를 나타내는 우리 말 (0) | 2012.08.01 |
---|---|
논설문 쓰기 (0) | 2012.06.13 |
[스크랩] ‘훈맹정음’을 아시나요? (0) | 2011.11.30 |
[스크랩] 우리말 공부 355 / 식겁하다,기함하다. 거방지다 (0) | 2011.11.16 |
[스크랩] 아름다운 순수 우리말 -- 많이 참고하세요. ^_* (0) | 2011.11.15 |